포스코는 글로벌 석유화학 기업인 쉘(Shell)사가 삼성중공업에게 발주한 FLNG((부유식액화천연가스설비) 프로젝트에 소요되는 후판 전량을 공급했다. 포스코는 최근 14개월에 걸쳐 쉘사의 호주 북서부 프릴루드 가스전 개발 프로젝트에 총 27종, 15만t의 후판을 전량 공급했다고 12일 밝혔다. 후판 15만t은 이 구조물에 필요한 모든 철강재 26만t 중 58%에 해당하는 규모로, 포스코센터(후판 2만톤 사용) 크기의 건물 7채를 건설할 수 있는 분량이다. 포스코가 후판 전량 공급에 성공한 '쉘 FLNG 프로젝트'는 삼성중공업이 2010년 로얄 더치 쉘로부터 수주한 30억 달러 규모의 세계 최초 LNG 시추 및 생산저장 시설(FLNG)로 길이 468m, 폭 74m, 높이 100m에 달하는 초대형 해양플랜트다. 이는 국내 LNG소비량 3일치에 해당하는 45만㎥를 저장할 수 있고, 연간 350만t을 생산할 수 있는 규모다. 전량 공급은 지난 2월 포스코가 대우조선해양 원유시추 생산저장 시설(FPSO)에 후판 9만t을 공급한데 이은 세계 2번째 사례. 한 프로젝트에 소요되는 후판제품 전량을 공급한 기업은 세계 철강사 중 포스코가 유일하다. 포스코 관계자는 "이런 초대형 프로젝트에 후판을 일괄공급할 수 있었던 것은 소재의 우수성, 적기공급, 긴급요청 대응 등을 인정받았기 때문"이라며 "고객사가 요구하는 모든 강종을 납기지연 없이 적기에 공급하고 있고, 불량률을 역시 낮으며 고객사의 잦은 설계 변경에 따른 긴급 강재 주문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했다"고 말했다. 이어 "삼성중공업과 공동 기술협력을 통해 LNG 격벽용 저온용 강재 개발, 조선소 건조설비에 대한 적용성과 용접 안정성 평가(WPQT)등을 성공적으로 추진해왔다"며 "특히 모든 관련 부서가 참여하는 프로젝트 태스크포스를 구성하고 생산현황 모니터링, 품질 및 공급관리 등을 차질없이 진행해왔다"고 덧붙였다. 포스코는 지금까지 총 23종의 강종을 개발 완료했고, 향후 60여종의 에너지강재 개발을 추가로 완료할 계획이다. 또 포스코건설, 대우인터내셔널, 성진지오텍 등 포스코패밀리사의 에너지플랜트 수주와 동시에 강재를 공급함으로써 2020년까지 전 세계 에너지강재 시장에서 10% 이상 점유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