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대구경북지역본부는 전·월세난 심화에 따른 서민주거불안 해소와 주택시장 안정을 위해 임대주택 공급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10일 밝혔다. LH는 정부의 보금자리 주택공급 정책에 맞춰 지난해까지 임대주택과 분양주택 비율을 각각 53 대 47 비율로 착공을 추진했으나, 올해는 4.1 부동산대책 등 새 정부의 임대주택 확대 정책에 따라 전체 착공물량(5만5천호)의 87%인 4만8천호, 준공물량(4만5천호)의 60%인 2만7천호를 임대주택으로 착·준공할 예정이다.  올한해 임대주택 착공 4만8천호, 준공 2만7천호는 연초에 수립한 계획을 초과달성한 물량으로 이는 전년도 대비 착공은 17%, 준공은 41% 증가한 수치이다. 임대주택 유형별 착공내역도 최저 소득계층인 기초생활수급자와 자가구입 능력 취약계층의 주거안정을 위해 영구임대(5만호) 및 국민임대(3만2천호) 착공물량을 확대했고, 내집마련 가능계층을 위해 공공임대 1만1천호를 착공 추진했으며, 권역별로는 수도권에 2만5천호(53%), 지방에 2만3천호(47%)를 착공 추진했다. 지난해 말 기준 우리나라 임대주택은 전체 주택수(1천855만호) 대비 5%(101만호) 수준으로 선진국의 11~13%에 비해 크게 부족한 실정으로 LH는 재무여건이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지속적으로 임대주택 착공을 확대할 계획이며, 이러한 임대주택 착공확대는 서민 주거복지 안정과 건설경기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 LH 대구경북지역본부 관계자는 "정부의 임대주택 정책방향에 1~2인가구 증가, 농어촌지역 활성화 등 新주거트렌드를 고려해 지역별, 계층별 특성에 맞는 맞춤형 임대주택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안상수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