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9년 사업 아이템을 찾던 강주영씨(48), 그는 유아 생활용품이 수입산 일색이라는데 눈이 확 뜨였다. 알고보니 유아용품은 90%가 외국산이었고 가격 또한 비싼데다가 우리 아기들의 체형에도 맞지 않아서 엄마들의 불만을 사고 있었다. 이를 보고 사업 아이템을 정한 그는 소아과 병원을 찾아다니면 유아 체형조사를 거쳐 국내 아기들에게 맞는 유아용의자의 데이터를 확보했다. 하지만 제품 개발은 녹녹치 않았다. 자체 연구소도 없었고 혼자서 제품을 만들어 본다는 것은 실패의 연속이었다. 진흙으로 성형을 만들어 FRP를 굽는데 1년여의 시간이 흘렸고 그래도 맘에 드는 완성품이 나오질 않았다. 우연한 기회로 대구경북중소기업청을 찾았던 그는 영진전문대학이 제품설계와 시제품 제작을 잘 지원한다는 얘기를 듣고 2010년 3월 이 대학 테크노센터 문을 두드린다.영진전문대학 테크노센터를 찾았을 때, 그는 천군만마를 얻은 느낌이었다. 센터내 산업체 출신 교수와 전문 연구원들, 그리고 첨단 고가의 장비들로 개발과정은 일사천리로 진행했다. 체형조사를 거처 만든 목업(Mock Up)을 3차원 스캐너로 스캔 후, 3차원 설계(CAD)를 통해 입체적으로 제품을 설계했고 이후 3차원프린터로 시제품을 완성했다. 생산도 전문 제조업체에 의뢰해 2011년 3월 ‘버드시아’란 자체브랜드로 처녀작이 시장에 출시됐다. 이 의자는 목에 힘이 없는 아기들의 목받침 기능, 앞쪽에는 식판도 올려놓는 등 다용도로 쓸 수 있는 것이 특징.마케팅은 독특한 방법으로 펼쳐졌다. 광고 대신 제품을 사용하게 될 아기엄마들에게 직접 홍보하기 위해 국내 유아용품 박람회만 25회나 찾아다녔다. 박람회장은 제품 평가의 최전선, 아기엄마들은 자신의 아이를 직접 앉혀보고, 재질도 만져보면서 외국산과 비교 평가하면서 우수하다는 입소문을 내 주기 시작했고 이에 힘입어 판매는 급성장했다. 시장 반응에 용기를 얻자 2012년 유아들이 디딤대에 올라서서 손씻기를 배울 수 있는 용품개발에 착수했다. 수고꼭지에 꽂아서 쉽게 사용할 수 있고, 유아들에게 흥미를 끌 수 있는 제품인  물레방아 수도꼭지를 역시 영진전문대학의 도움으로 개발하고 올해 5월 성공적으로 출시했다. 이 제품 역시 대박을 터뜨렸다. 기저귀를 땔 시기에 어디서나 소변을 볼 수 있는 물통식 소변기도 개발하고 최근(12월2일) 출시했다. ㈜버드시아는 지금까지 출시한 제품과 관련 국내외에 15건의 특허를 출원했으며 체코와 우크라이나, 중국 등으로 수출길도 뚫었다. 산학협력을 더욱 활발히 하고자 (주)버드시아는 자가 생산공장을 영진전문대학으로부터 1km에 떨어진 칠곡 연화공단으로 이전했고, 이달 초에는 기업연구소를 아예 이 대학 산학융합지구(QWL)관에 입주시켰다. 강주영 대표는 창업한지 3년만인 지난달 26일, 서울 SETEC국제회의장에서 개최된‘2013 전국소상공인대회’에서 소상공업 진흥으로 국가발전에 기여했다는 공로로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유아용품으로 올해만 매출 20억원을 거뜬히 넘기면서 당당히 소상인공으로서 창업에 성공한 것이다. 강주영 대표는 “영진전문대학이 없었다면 오늘 이 위치에 과연 설 수는 있었을까”한다며 내 일처럼 함께 고민하고 지원해 준 이 대학 테크노센터에 수상의 기쁨을 함께 나눴다고 했다.개발과 제품출시를 지원한 이광록 교수(컴퓨터응용기계계열, 테크노센터장 46)는 “우리센터는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하는 분야의 기구설계, 역공학설계 및 시제품개발 분야로 특화시켜 가전/IT제품, 생활/산업용품 등의 신제품 개발에 대한 토탈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대구 경북은 물론 창원, 울산, 경기지역에서도 찾아온다”고 말했다. 이 센터는 최근 3년간 중소기업의 제품설계와 역설계로 980건을, 시제품제작으로 350건을 지원하는 등 산학협력에 적극 나서고 있다. 류상현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