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노사와 자문위는 8일 울산공장 본관 아반떼룸에서 윤갑한 현대차 사장, 이경훈 노조지부장 등 노사 관계자 60여 명과 김동원 교수 등 자문위원이 참석한 가운데 '임금체계 및 통상임금 개선위원회' 7차 본회의를 열었다. 이날 자문위는 '현대자동차 임금체계 개선방향에 대한 2차 의견서'를 노사에 전달, 자문위는 지난 3월 '일과 숙련의 가치를 반영한 임금체계 도입'등 방향성을 제안한 1차 의견서를 전달한 바 있다. 특히 이번 2차 의견서는 현대차 임금체계 개선을 위한 좀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했다. 자문위는 먼저 기본원칙에 대해 "노사 상생의 원칙으로 삼아 미래 지향적인 임금체계를 구성하고 임금 안전성과 개인의 자기계발 및 성장을 지향해야 한다"고 지적하며 "임금체계 개선 과정에서 현 조합원의 임금 저하와 회사의 추가적인 인건비 부담을 방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자문위는 "새로운 임금체계는 기존의 근속 중심의 기본급 체계에서 벗어나 일의 가치와 숙련을 반영하고 개인의 공헌도와 조직의 성과에 따른 보상을 체계화하여 글로벌 경쟁에서 지속 성장을 담보할 수 있어야 한다"고 밝히며 "조합원의 임금 안정성을 제고함과 동시에 경영환경 악화에 대비하고 장기적인 고용안정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경쟁력 있는 임금체계를 시급히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 했다. 구체적인 개선방향으로  ▲기본급 중심의 임금체계 및 임금 구성 단순화 ▲직무,역할 수당 체계화  ▲숙련급 도입  ▲성과배분제도 개선 등 4가지를 제안했다. 자문위는 이를 위해 현행 '기본급+제수당+상여금+연장, 특근 및 연월차 수당+성과금'으로 구성된 임금체계를 '숙련급+직무급, 직무수당+연장, 특근 및 연월차 수당+ 성과급+업적급'으로 개편을 주문했다. 세부적으로 기본급 중심의 임금체계 및 임금 구성 단순화를 위해 상여금의 일정 부분을 기본급으로 전환하고 임금 보전 성격의 불필요한 수당의 통폐합을 제안했다. 또한 직무(역할)급, 직무(역할) 수당 도입을 위해 직무 및 역할 난이도, 숙련도, 역량 등의 차이를 노사 공동으로 직무조사를 실시하고, 직무, 역할에 관련된 수당 재조정을 주문했다. 추가적인 직무급,직무수당 재원 확보를 위해 상여금 중 일정비율 배분을 제시 했다. 숙련급 도입을 위해서는 숙련 단계를 4단계로 구분한 숙련급제와 직급별로 숙련급으로 개편하는 두 가지 안을 제안했다. 또 매년 노사 협상에 따라 성과금을 지급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회사의 이익과 성과에 연계하여 사전에 성과급 산정기준을 설정하고 이에 따른 이익 배분(Profit Sharing)과 성과 배분(Gain Sharing) 시행을 제안했다. 이 밖에도 상여금 일부를 재원으로 하여 개인의 공헌도를 반영한 업적급 도입도 주문 했다. 자문위는 "노사가 상생할 수 있는 미래지향적 임금체계 개선과 통상임금 이슈 해소를 위해 큰 틀의 개선 원칙 및 방향을 조속히 합의하고 세부적인 운영방안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 했다.  강경복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