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일본의 경제의존도가 지난 2012년을 정점으로 계속 떨어지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최근 3년간 일본의 한국에 대한 직접투자, 관광객, 무역규모는 두드러진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경제연구원이 24일 발표한 '최근 한·일 양국 간 무역투자 패턴의 변화와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외국인 직접투자 유치실적에서 일본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2년 27.9%에서 지난해 13.1%로 2년간 14.8% 포인트나 감소했다. 투자금액도 2012년 45억4000만달러에서 뀬2013년 26억9000만달러 뀬2014년 24억9000만달러 등으로 계속 감소하는 추세다. 최남석 한경연 연구위원은 "장기불황에도 일본의 한국에 대한 직접투자 유입액 비중이 약 16~29% 수준을 유지했다"며 "외국인투자는 양국 관계 변화에 영향을 받기 쉬운데 2012년 일본 아베 총리 집권 등 우경화 현상 등으로 한·일관계가 경색되면서 투자가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한편 우리나라를 방문한 일본인 관광객은 2012년 342만 명에서 2014년 217만 명으로 무려 37% 가량 줄었다. 지난해(106엔/달러)와 엔화 수준이 비슷한 2004년(108엔/달러)의 일본인 관광객 수( 234만 명)보다도 약 17만 명이나 줄어든 셈이다. 전체 외국인 관광객 중 일본 관광객이 차지하는 비중도 2012년 39.5%에서 지난해 19.9%로 줄었다. 우리나라의 대일본 무역도 지난 2012년을 기점으로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일 수출액은 2011년에는 전년 같은 기간보다 40.8% 증가했지만 2012년 2.2% 감소한 데 이어 뀬2013년 10.7%, 뀬2014년 7.2% 등으로 계속 줄어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