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연구개발비는 2011년 1조3,022억, 12년 1조4,242억, 13년 1조4,708억, 2014년 1조5,158억으로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지만, 많이 지원받는 대학만 계속 더 많이 지원 받고 있어서 학문의 빈익빈 부익부가 해소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윤재옥 의원(새누리당, 대구달서을)이 한국연구재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5년 대학별 연구비 지원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4년도 연구비 1조5천여억원 중 상위 10개 대학이 전체 연구비의 52.23%에 해당하는 791,655억원을 지원받은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이 10개 대학이 수행한 과제수는 6,503건으로 전체 연구과제 17,936건의 36.26%밖에 되지 않는 반면 연구비는 절반을 넘어서 고액 연구는 거의 차지했다는 분석이 가능하다. 대학별로는 서울대학교가 2,100억 원의 연구 과제를 수행해 가장 높은 비중(13.85%)을 차지했고, 그 다음이 한국과학기술원 1,027억원(6.78%), 연세대학교 966억(6.38%), 고려대 870억(5.74%)가 그 뒤를 이었다. 2014년 국가연구과제를 수행한 279개 대학 중 3.5%에 불과한 10개의 대학이 연구비의 52.23%를 지원받았다는 것은 학문에 있어서의 빈익빈 부익부가 계속 되고 있다는 반증이다. 그나마, 한국연구재단에서 연구비의 수도권-지방 편중을 개선하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많은 노력을 기울인 결과, 2009년부터 수도권과 지방이 6 : 4수준으로 관리가 되고 있다. 하지만, 특정대학에 지나치게 연구비가 집중되는 현상은 2009년 이후 계속 50%를 상회하고 있어서 제도적으로 특정대학들에 편중되는 것을 어느 수준까지는 막을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윤재옥 의원은 "우수대학에 우수 학자들이 집중되어 있어서 특정대학에 연구비가 어느 정도 집중되는 것은 당연한 결과라고 할 수 있지만, 상위 3%대학 10곳에 국가 R&D 연구비의 50%가 넘게 집중되는 것은 개선의 여지가 있다"고 밝히고, "학문에 있어서의 빈익빈 부익부가 계속되지 않게 국가연구재단에서 더욱 신경을 쓸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인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