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가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최종 지정됐다. 28일 산업부는 철강 수요 둔화, 글로벌 보호무역 강화, 미국의 고율관세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지역 철강기업과 협력업체의 위기 극복을 위해 포항을 선제대응지역으로 확정했다고 밝혔다.이번 지정으로 포항은 향후 2년간 긴급경영안정자금,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우대, 금융·재정 지원, 경영·기술 자문, 고용안정지원 등 다양한 맞춤형 지원을 받는다. 특히 중소기업 대상 대출 지원이 확대되고, 소상공인에 대한 우대보증 프로그램도 운영된다.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은 기업당 최대 10억 원을 2년 거치 5년 상환 조건(금리 3.71%)으로 지원하고,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도 최대 7천만 원까지 2년 거치 5년 상환(금리 2.68%) 대출을 제공한다. 지방투자촉진 보조금도 대기업은 설비투자 금액의 6%→12%, 중소기업은 10%→25%까지 상향된다.포항시는 이번 지정을 계기로 ▲중소 철강기업 긴급경영안정자금 지원 ▲이차보전 확대 ▲기술 자문 및 인력 양성 ▲고용안정 사업 등 다양한 지원책을 본격 추진할 방침이다. 아울러 철강산업의 고부가가치 전환을 위해 경북도·중앙정부와 긴밀히 협의해 나간다.이번 성과는 국회와 포항시의회, 경북도, 지역 철강기업들이 힘을 모은 결과다. 김정재(포항 북구), 이상휘(포항 남구·울릉) 의원이 직접 부처를 찾아 건의서를 전달했고, 포항시도 수차례 현지 실사와 간담회를 열어 산업부를 설득했다.이강덕 포항시장은 “이번 지정은 포항시와 지역사회, 국회, 경북도, 기업이 함께 이뤄낸 성과”라며 “위기를 새로운 도약의 기회로 삼아 반드시 지역경제 재도약을 이끌겠다”고 밝혔다.그는 또 “전기요금 등 에너지 비용이 철강기업의 가장 큰 부담인 만큼, 정부 차원의 실질적 지원과 함께 울진~포항 해저 전력망, 수소 에너지 고속도로 배관망 구축 등 대형 사업도 서둘러야 한다”고 덧붙였다.한편, 이번 지정은 2025년 8월 28일부터 2027년 8월 27일까지 2년간 효력을 가진다. 이 기간 동안 포항은 금융·컨설팅·고용지원 등 다각도의 집중 지원을 받게 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