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농업기술원이 14일 구미시 선산읍에서 '맥류기계화 파종 연시회'를 가졌다. 이날 연시회에는 농림축산식품부장관, 농촌진흥청장, 공무원, 농협 관계자 등 120여명이 참석해 논 재배 동계작물 재배기술 교육과 보리파종연시, 무인헬기를 이용한 벼 입모중 IRG파종연시를 지켜봤다. 도 농업기술원은 식량자급률 증대와 농가소득 향상을 위해 맥류재배를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2016년까지 2만3천657ha(보리 1천350, 밀 107, 조사료 2만2천200ha)로 전년 대비 22% 늘어난 맥류를 파종할 계획으로 현재 정부보급종 등 우량종자 78.4톤을 농가에 공급했다. 특히, 농기원은 개별농가의 영농한계를 감안해 지역단위 대규모 생산을 유도하고 있는데 맥류는 이모작형 들녘 경영체를 비롯해 지역조합, 영농조합법인, 전업농의 참여를 유도하고, 밀은 수매주체와 영농조합법인 등과의 계약재배, 조사료는 지역농축협 및 조사료 경영체를 중심으로 축산 경종농가의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또 판로 확보를 위해 농협 및 기존 사용업체의 실수요량을 파악하고 가공제품을 통한 신규 수요창출을 확대할 계획이며 조사료는 농축협·TMR업체 등을 통해 공급할 예정이다. 박소득 경북도농업기술원장은 "동계작물의 안전재배를 위해서는 적기파종이 가장 중요하며 지역별 작부체계와 기상여건에 따른 농작업 계획을 수립해 지역 여건에 맞는 재배기술을 적용해 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2016년 2월말까지 맥류 생산 확대를 위해 농식품부, 농진청, 농협은 합동으로 '특별 현장지원기간'을 운영해 전체 파종면적 28만7천ha를 목표로 맥류 재배를 전년대비 22% 늘리고 곡물자급률을 1%, 식량자급률을 0.5%를 올린다는 계획이다. 류상현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