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 크게 늘어 미분양 물량 급증 우려 경기도 10만 가구로 전국에서 가장 많아 2017년 전국의 아파트 입주 물량이 32만 가구로 사상 최다 기록을 세울 것으로 보인다.  이같은 입주 물량 증가로 악성 미분양이 늘어나는 한편 기존 주택을 제 때 처분하지 못할 경우 상당한 혼란이 빚어질 것으로 보인다.  19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2017년 전국 아파트 입주물량은 총 32만3797가구로 지난 2006년(33만3319가구) 이후 가장 많다. 입주물량이 가장 적었던 지난 2012년과 비교하면 두 배에 달한다.  경기도가 10만249가구로 전국 시·도 중 가장 많은 입주 물량이 쏟아진다. 지난 2010년(11만5166가구) 이래 최대 수준이다. 2011~15년 사이 경기도 연 평균 입주물량(6만여가구)보다 4만여가구나 많다. 동탄2신도시,  위례신도시, 미사강변도시, 배곧지구 등을 중심으로 입주 물량이 쏟아진다. 2017년 입주 예정 물량은 뀬경남 3만4544가구 뀬서울 2만6178가구 뀬충남 2만3301가구 뀬경북 2만1831가구 뀬대구 1만8622가구 뀬인천 1만7262가구 뀬부산 1만7118가구 뀬세종 1만3910가구 뀬충북 1만1451가구 등이다. 경남의 경우 1992년(3만8108가구)이후 가장 많다. 충남은 1997년(2만7910가구), 경북은 1999년(2만2329가구) 이후 최다 물량이다.  특히 임대물량을 제외한 가구수는 총 29만9592가구다. 이는 1999년(31만9831가구) 이후 가장 많은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대아파트는 분양시점에 임차 대상이 정해지기 때문에 주택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반면 임대가 아닌 분양물량은 입주시점에 임대차 대상이 정해지고 매도자와 매수자간 손바뀜이 상당해서 시장에 큰 영향을 준다. 또한 공급과 수요간 불일치가 발생하면 준공 후 미분양 증가 등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