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수출 농산물들의 부적합률이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경북지원(이하 경북농관원)은 지난달 30일, 도내 국가지정 15개 수출단지와 도지정 32개 수출단지 등에 등록된 수출희망 농가를 대상으로 잔류농약 320가지 성분을 검사한 결과 수출기준 부적합율이 9.9%로 지난해 38.8%에 비해 대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관원은 올해 도내 사과, 배 등 14개 수출품목을 대상으로 850건의 시료를 검사한 결과 84건의 부적합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경북농관원은 지속되는 수출농산물 안전성 위반 문제 해결을 위해 재배 초기단계부터 수출단지별 현장지도와 순회교육을 실시하는 등 수출농산물 안전성을 확보를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왔다. 특히 과거 대만 수출사과 미등록 농약검출로 통관거부 및 전수조사 조치 등을 한 사례가 있어 수출농가 피해를 감소시키기 위해 농관원은 주요병해충 사진, 살포가능 농약명, 잔류 허용기준, 주의사항 등이 수록된 안전관리 지침서를 제작해 배부했다. 아울러 잔류농약검사 체계를 선과장·재배지 2회 검사에서 재배지 1회 검사로 전환해 농업인 편의를 높이고 농가의 검사비용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수출농가가 요청하는 물량에 대해서는 전량 검사를 지원하고 있다. 또 잔류농약 검사 결과 수출국 안전기준 부적합품에 대해 수출 보류 조치를 하고, 수입국에서 요구할 경우 영문성적서도 발급하고 있다. 이렇게 해서 농관원은 올해 수출농산물 850건에 대한 농가의 검사비용 1억7천여만원을 줄였다고 밝혔다. 경북농관원 관계자는 "FTA 확대 등 개방화 추세에 따라 각국은 식품안전기준을 강화하는 추세"라며 "국가마다 차별화된 안전기준을 설정해 농식품 안전기준을 비관세 장벽으로 활용하고 있으므로 수출 확대를 위해서는 수출농산물의 안전성 확보가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류상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