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의 40%가 창업 후 1년 내에 폐업하고, 평균 1588만원의 부채를 떠안는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중소기업연구원은 24일 이 같은 내용이 포함된 '소상공인 회전문창업 실태와 해법의 실마리'라는 연구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소상공인 중 1년 내 40.2%가 폐업을 한다. 2년째에 53.7%, 3년째 62.0%, 4년째 66.6%, 5년째에 69.1%까지 높아졌다. 특히 1인기업의 생존율이 크게 낮아 성장을 멈춘 소상공인의 경우 규모의 영세성으로 인해 생존율이 보다 낮아졌다. 소상공인의 낮은 생존율은 과밀 및 치열한 경쟁에 따른 것으로, 다산다사의 구조 안에서 폐업 후 유사업종으로 재창업하는 '회전문 창업'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아울러 소상공인들이 폐업을 결정할 당시 월평균 매출액은 1051만원이며, 이 중 영업이익은 112만원 수준으로 나타났다. 폐업 소상공인의 영업 호황기 월평균 매출액은 2688만원, 영업이익은 698만원으로, 호황기와 폐업기의 차이가 월매출액의 경우 1637만원, 영업이익의 경우 586만원, 영업이익률의 경우 15.3%p 차이 발생했다. 이들이 폐업을 결정하는 시기는 영업이익이 최저임금(117만원)보다 낮아진 시점이었다. 지난해 최저임금이 시간당 5580원으로, 월 209시간 적용 시 117만원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