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까지 경주·안동·의성·고령·칠곡 등 5개 시군에6304억 들여 161개 기업 유치, 융복합 산업공간으로 조성LH와 경산에 첨단 강소기업 육성 '도시첨단산단' 추진도
경북도가 신규 산업단지 9개를 지정했다. 경북도는 24일, 국토교통부 산업입지정책심의회 심의를 거쳐 경주, 안동, 의성, 고령, 칠곡 등 도내 5개 시군에 국비와 민자 등 6304억원을 들여 2019년까지 9개 4.3㎢의 신규 일반산업단지를 조성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161개 기업이 유치돼 청년일자리 창출에 큰 도움을 주게 됐다. 이번 지정계획에서는 특히 울산지역 산업용지 포화 등으로 수요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경주 지역의 이전 수요를 반영했으며, 의성, 고령, 칠곡 지역으로 이전하려는 기업에 필요한 산업용지가 적기에 공급돼 기업 입지난이 해소될 전망이다. 이와 함께 도청이전에 따른 신도시의 경제적 기반 확충과 인구유입을 위한 배후산단 조성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기존의 경북바이오일반산업단지 인근에 30만㎡ 규모의 경북바이오2일반산업단지를 조성하게 된다. 신규 산업단지는 주민설명회와 관련기관 협의, 경상북도산업단지계획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승인 고시하게 되며 도는 연내 지정절차를 마무리할 계획이다.                   경북도는 이와 함께 도내 최초로 경산에 29만6천㎡의 규모로 첨단 강소기업을 육성하는 창조경제 혁신거점으로 활용하기 위한 도시첨단산업단지 조성을 LH공사와 함께 추진중이다. 한편 도내에는 현재 국가산업단지 9개, 일반산업단지 78개, 농공단지 69개 등 156개 산업단지(지정면적 154.9㎢)에 5천여 기업이 입주해 20여만명의 일자리를 제공하고 있다. 최대진 경북도 지역균형건설국장은 "산업단지 과열로 미분양이 연평균 수요면적의 10배를 넘어 신규 산업단지 지정 물량과 산업단지 진입도로 국비지원에 제한을 받는 등 산업용지 공급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며 "그러나 국토교통부와 긴밀한 협의를 통해 관련지침을 개정하고 2013년부터 실수요 비율을 기존 30%에서 80%로, 작년부터는 다시 100%로 기준을 높여 적용하는 등 적극적으로 수급관리를 강화한 결과 미분양 문제가 해소돼 161개 기업이 들어설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그리고 "앞으로 산업단지는 제조업 중심의 생산기지 역할에서 일하고, 살고 싶고, 즐길 수 있는 일+삶+쉼터가 공존하는 융복합 산업공간으로 조성돼야 청년들을 끌어들일 수 있다"며 "이러한 부분에 중점을 두고 경쟁력 있는 산업단지를 조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류상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