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과학부와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이사장 김차동, 이하 특구진흥재단)이 공공기술의 사업화를 위해 '2016년 연구개발특구육성사업(817억원)'을 시행한다고 1일 밝혔다. 올해 특구육성사업에서는 연구개발특구의 공공연구성과를 기반으로 '공공기술 발굴·이전(출자) 연계→사업화(제품화 및 기술창업)→해외진출지원' 등을 통해 창조경제 성과를 축적할 계획이다. 먼저, 기업이 보다 쉽게 공공기술을 찾아볼 수 있도록 하고 이전받은 기술에 대해 사업화까지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 특구진흥재단 고유의 기술발굴체계를 통해 사업화하기 좋은 유망기술을 연중 발굴한다. 사업화 추천기술은 특구기술정보포털(http://www.dit.or.kr)을 통해 상시 공개되며, 하반기에는 5개 연구개발특구 발굴기술을 모아 '2016년도 연구개발특구 기술박람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기술이전사업화(R&BD)는 과제특성에 따라 예산 규모와 기간을 다양화해 기업 특성 및 성장단계에 맞는 사업화를 지원할 계획이다. 기술이전사업화공공의 기술을 이전받은 기업에게 사업화 자금을 지원하며 2억원∼최대 10억원/ 1∼3년 이내로 지원 규모, 기간 등 세분화돼 있다. 또, 이노폴리스캠퍼스를 대학 내에 지정해 창의적 아이디어가 특구공공기술들과 융합돼 기술창업으로 실현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더불어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해 공백기술 매칭, 멘토링, 엑셀러레이팅 등으로 창업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밖에도 해외 엑셀러레이터 등 글로벌 네트워크 확보로 특구기업의 투자유치 등 해외시장 진출에도 도움을 주려 준비하고 있다. 특구육성사업의 주요 지원대상은 공공기술을 이전 또는 출자 받아 사업화를 추진하는 기업, 연구소기업 및 기술창업에 관심 있는 예비창업자 그리고 대학, 출연(연) 등 기술보유기관이다. 자세한 문의사항은 대구특구(053-592-8352)로 전화하면 자세히 알수 있다. 김범수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