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지방중소기업청이 기술개발 역량이 부족한 지역 중소기업의 제품경쟁력을 강화하고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올해 34억원을 지원한다. 이른바 '제품·공정 개선 사업' 예산으로 전국 예산 258억원의 13.2% 수준이며 작년 지역에 지원된 예산(30억원)보다 13.3% 늘었다. R&D 초보기업이나 기존 제품의 성능과 품질을 향상시키고, 공정간소화를 통해 생산성 높이려는 기업에게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지난해 대구 성서공단의 금속도금업체인 J사는 이 자금을 지원받아 세척공정 개선을 이뤘다. 덕분에 도금 불량률이 99% 줄고, 탈지액을 내부순환 및 재활용함으로써 근로자의 작업환경이 개선되고 폐기물이 감소하는 등 연간 6500만원의 비용 절감 및 생산량 증대 효과를 냈다. 또 포항의 물류자동화 시스템 개발업체인 U사도 이 자금으로 기존 시스템을 기업 맞춤형 소규모 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하고 스마트폰으로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해외 진출을 위해 다양한 언어지원 및 모듈 제공이 가능하도록 개선했다. 이에 따라 외국제품 대비 성능은 동급 이상이면서 구축비용은 대폭 절감해 국내기업 창고자동화 프로젝트 수주 및 중국 현지 수요처와 판매계약이 잇따라 6억원 이상의 매출을 기록하고 있다. 제품개선사업에 참여하고자 하는 중소기업은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에 따른 중소기업이면 가능하고, 공정개선사업은 공장등록증 또는 직접생산확인증명서 보유기업에 한정된다. 500㎡ 미만의 소기업이 공장을 미등록한 경우 건축물대장으로 갈음할 수 있다. 개발기간 최대 9개월에 자금은 최대 5천만원까지 지원하고, 신청·접수는 2월과 7월에 두 차례 실시한다. 두 차례 신청기간 중 한 차례만 신청 가능하므로, 1차 신청에서 탈락한 기업은 2차 신청이 불가하다. 1차 신청은 2월 11~25일이며, 온라인 시스템(www.smtech.go.kr)에서 신청이 가능하다.  대경중기청 최복준 제품성능기술과장은 "제품·공정 개선 기술개발 사업은 지역 소기업들의 가려운 데를 긁어 주는 효자사업"이라며 "지역 중소기업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류상현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