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17일 "수출에 대한 우려가 그 어느때보다도 높은 지금이야말로 5년, 10년 후에 우리가 무엇으로 먹고 살지 깊게 고민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후 청와대에서 제9차 무역투자진흥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세계시장의 소비와 투자가 살아나지 않고 개도국의 추격도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의 수출품목을 고도화하고 새로운 수출동력을 찾지 않으면 우리 수출의 미래는 밝을 수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박 대통령은 "제조업 강국으로 평가받는 우리나라가 정작 세계최고 수준의 기술을 갖고 있는 분야는 3%에 불과하다"며 "따라서 우리가 그동안 강점을 가졌던 제조업 분야에 서비스나 ICT, 문화 등을 융합해 업그레이드함으로써 고도화된 창의적 제품을 수출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이어 "현재 가동중인 범정부수출비상지원 체계를 통해 관계부처와 유관기관의 가용자원을 수출 중심으로 재편할 필요가 있다"며 "한류와 연계한 유망소비재시장 진출, 중소·중견 기업의 수출기업화 등 각 부문별로 대책도 속도감 있게 추진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박 대통령은 또 "신재생에너지, 스마트그리드, 제로에너지빌딩 등 우리가 역점을 두고 있는 에너지신산업도 그간 축적해온 도시 인프라 기획·관리 능력과 결합시켜 최근 수요가 늘고 있는 중동이나 인도에 스마트시티나 친환경도시 등의 패키지 형태로 수출이 가능할 것"이라며 "제품과 플랜트 수출을 넘어서 이제는 도시 자체를 수출하도록 발상을 바꿔나가야 한다"고 주문했다. 새로운 수출동력 창출과 관련해서는 뀬민간 주도의 성장동력 발굴과 정부가 뒷받침하는 협업 뀬신산업에 대한 네거티브식 규제 심사와 융복합 신제품에 대한 사후규제 적용 등을 통해 민간 신산업 진출을 지원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이인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