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공항·k2공군기지 통합 대상지가 5곳으로 좁혀진 가운데 최종 후보지 선정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국방부가 대구 민·군 통합공항 입지 부지를 찾기 위한 예비이전후보지 조사용역을 완료하고 '군 공항 이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근거해 5곳 이전 후보 지방자치단체를 상대로 협의를 시작한다고 밝혀 사실상 후보지 확정 초 읽기에 들어갔다. 대구시와 국방부에 따르면 국방부의 예비이전후보지 조사 용역조사는 영남권 신공항 연구 지역과 과거 군공항 이전부지로 조사한 지역을 참고해 총 32개 지역을 대상으로 검토를 시작했다. 이후 현장실사와 공역, 장애물, 소음 등을 검토해 민·군 통합 공항 입지로 적합한 8곳을 1차로 선별했고 국방부가 공군의 작전성 등을 검토해 경북 군위군, 의성군, 성주군, 고령군, 대구 달성군 등 5곳으로 압축했다. 국방부는 '군 공항 이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4조에 따라 관계 지방자치단체와 협의를 거쳐 최대한 빠른 시간 안에 예비이전후보지를 선정해 발표할 예정이다. 국방부는 불필요한 논란을 피하기 위해 발표시 조사 용역사의 조사용역 결과와 공군의 작전성 검토내용, 지자체장과의 협의 결과를 상세히 설명해 예비이전후보지 선정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할 방침이다. 국방부가 접촉한 5곳의 후보지 중 찬반이 다소 엇갈리는 달성군을 제외하곤 대체적으로 공항 이전을 환영하는 분위기다. 달성군은 대구에서 가장 가깝다는 지리적 강점이 있지만 소음을 우려하는 분위기 등 반대여론이 강한 것으로 알려졌다.  찬성 여론이 가장 강한 곳은 군위와 의성으로 공동 유치까지 공언한 상태여서 공항이전을 추진하는 국방부로서는 가장 부담이 적은 곳이지만 대구시는 상대적으로 먼 거리 탓에 반기지 않는 모습이다.  한편 지난 8월 국방부는 연말까지 2곳 이상의 예비 후보지를 정해 군공항이전부지 선정위원회를 통해 한 곳으로 후보지를 최종 압축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김범수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