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첨단 ICT기술이 집약된 전기·자율주행차, 커넥티드카 등 미래형 자동차산업을 집중 육성하는 등 4차산업혁명을 주도하기로 했다. 미래형 자동차는 친환경, 자율주행, 스마트 기능 3요소가 필수조건이 되면서 친환경 자율주행차(전기+자율주행+커넥티드) 시장 비중은 2018년 5%에서 2025년 15%로 성장할 전망이다.  이와 더불어 세계 자동차전장시장도 2011년 1천586억불에서 2020년 3천11억불로 연평균 7.4% 성장하고, 전장비중(제조원가)이 2020년까지 50%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따라서 경북도는 차체,섀시, 파워트레인 등 내연차 관련 부품비중이 높은 지역 자동차산업을 경량화와 전장화에 대비해 기술 고도화와 산업체질 개선에 본격 나선다.  우선 도는 미래형 자동차의 핵심 분야인 경량화 신소재, 전장부품, SW 중소?중견기업의 R&D를 지원한다. 먼저, 2035년 알루미늄과 탄소복합재가 전체의 35%를 차지할 정도로 경량소재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경량소재부품산업을 집중 육성한다.  또 울릉도를 중심으로 4년간 1천94억원을 투자해 전기차와 자율주행차 실증 및 시범 보급을 추진한다. 이에 도는 지난해 11월 영국 정부, 울릉군, 영국 웨스트필드스포츠카, 포스코ICT 간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오는 6월 6인승 무인셔틀로 울릉군 천부리에서 나래분지까지 3㎞구간을 국내 최초로 자율주행차가 시범 운행된다. 또한 지역 내 부족한 자동차 전문인력 확보와 산학연관 협력체계 구축, 사업화율을 높이기 위한 수요기업과의 연계 강화 등 생태계 조성에 착수한다.  송경창 경북도 창조경제산업실장은 "초연결화, 초지능화로 대표되는 제4차산업혁명이 눈앞 현실로 다가오고 있고, 전기?자율주행차 시대 미래형 자동차로 산업재편이 시급하다"며 "올해를 기점으로 내연기관 중심의 지역 자동차산업 구조재편에 박차를 가해 미래시장을 대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서인교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