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달청이 하도급 계약 절차를 간소화하는 등 이용자 편의성 향상을 위해 하도급지킴이 시스템을 개편해 20일 새롭게 오픈했다. 지난 2013년 말 도입된 하도급지킴이는 공공사업을 수행하는 원·하수급자가 하도급 계약 체결 및 대금 지급 등을 온라인으로 처리하고 발주기관이 결과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으로 지난해 말 기준 730개 발주기관과 7983개 업체가 이용하고 있다. 이번에 개편된 하도급지킴이 시스템은 계약 절차와 대금 청구 절차 간소화를 통한 사회적 약자기업 보호 및 이용 편의성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 기존에는 오프라인에서 하도급 계약 체결·통보·검토의 계약 절차를 이미 수행한 경우에도 시스템을 통한 계약 절차를 반드시 거쳐야 했으나 이번 개편에서 조달청은 계약 정보만 입력하면 하도급 계약 절차를 생략할 수 있도록 했다. 또 조달청은 대금 청구 절차도 개선해 노무비, 자재, 장비대금을 기성·준공금과 별개로 각 청구하던 것을 한 건으로 통합청구가 가능케 했다. 이에 따라 기존 3단계를 거쳐야 했던 대금 청구가 1단계로 줄어들어 대금 청구부터 수령까지 전체적인 처리 시간이 크게 단축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함께 발주기관이 동일하더라도 계약별로 계좌를 만들어야 했던 관행을 고쳐 발주기관이 동일한 경우 계약에 관계없이 중복으로 약정계좌 사용이 가능하도록 개선했고 기존 시스템에 없던 재하도급 관리 기능, 인지세 납부 확인 기능 등도 추가됐다. 조달청 곽희섭 정보관리과장은 "이번에 개편한 하도급지킴이 시스템은 그간 제기됐던 불편사항을 개선해 이용자 편의성이 대폭 개선됐다"며 "앞으로도 만족도 조사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개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범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