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해 경기불황으로 국내 기업 7곳 가운데 1곳이 근로자들의 임금을 동결하거나 삭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부는 지난 해 100인 이상 사업장 6745곳의 임금교섭 타결현황을 분석한 결과, 임금교섭이 타결된 사업장 5667개 가운데 임금을 동결하거나 삭감한 사업장이 13.7%(774개)로 나타났다고 7일 밝혔다.
특히 실물경기 침체가 가시화되기 시작한 11월 임금을 동결하거나 삭감한 사업장수는 85개에서 12월 310개로 한 달 사이 3.6배나 늘었다.
노동부는 올해 초 경제불황이 본격화될 경우 임금 삭감이나 동결은 더욱 가속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지난 해 노사가 합의한 협약임금의 평균인상률은 4.9%로 2007년 4.8%와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 협약임금 인상률은 100인 이상 사업장에서 노사가 협약으로 정한 사전 임금인상률로 정액급여와 고정상여금이 대상이다.
업종별로 도매 및 소매업(6%), 부동산 및 임대업(5.6%), 제조업(5.4%) 등 6개 업종은 평균인상률보다 높았고, 운수업(2.7%)은 인상률이 가장 낮았다.
임금교섭이 마무리된 사업장은 84%로 전년도 76.5%에 비해 비교적 원만하게 임금교섭이 진행됐다.
노동부 이채필 노사협력국장은 "올해는 금융위기가 실물분야로 확대될 우려가 크다"며 "위기극복을 위한 노사간 양보교섭이 확산될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을 강구하는 등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