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사진) 국민의힘 대선 후보는 14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클럽 초청 토론회에 참석해 "고발사주 의혹은 제 입장에서는 이걸 지시한 사실도 없고, 도대체 이런 일이 어떻게 이뤄졌는지도 알 도리가 없다"고 밝혔다.
윤 후보는 이날 고발사주 의혹과 연루된 손준성 전 대검 수사정보정책관과의 관계를 묻자 "측근이라면 측근이랄수도 있다"면서도 "대검 수사정보정책관이기 때문에 검찰총장에 대해서 수집된 범죄정보와 또 일선 검찰조직에서 발생하는 일들에 대해서 저한테 보고하는 위치에 있었다"고 사적인 친분에는 사실상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 "본인(손준성)이 일탈했는지 안 했는지 제가 알 수도 없고 이런 지시를 할 이유도 없고, (지시를) 한 사실도 없다"고 부인했다.
부산저축은행 불법대출 사건 부실수사 의혹에 대해선 "어느 누구도 거액의 커미션(수수료)을 수수했다는 걸 알았다면 대통령이 봐달라고 해도 절대 그럴 일 없었을 것으로 확신한다"며 "대장동 대출건은 당시 SPC를 통한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수사대상이 아니었을 것"이라고 밝혔다.
부산저축은행 부실수사로 인해 대장동 개발 특혜 의혹까지 불거졌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대장동 사업으로 대출받은 그 기업이 재산을 빼돌린 점을 갖고 수사하다 보니 상당히 거액의 돈을 부산저축은행 고위관계자의 조카에게 수수료를 줬단 진술이 나온 것"이라며 "중수부에서 수사하며 거기(대장동)에 대한 진술도 못 받았고 증거 확보된 것도 아니고 전혀 파악이 안 된 상태기 때문에 이걸 부실이라고 운운하는 것은 좀 어불성설"이라고 반박했다.
아내 김건희씨의 국민대 박사논문 표절 의혹에 대해 "표절로 나온다면 제 처 성격상 스스로 (학위를) 반납할 것"이라면서도 "제가 처에게 듣기론 논문 써머리(요약)에 메인테넌스를 '유지'라고 쓴 과오가 있긴 하지만 그 논문이 디지털 3D에 관한 것이고 실험논문이기 때문에 베껴 쓸 수 있는 게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과거 수원여대 겸임교수 채용 당시 허위경력 제출의혹에 대해서는 "본인 개인경력이라고 하지 않았고 산학연계 시간강사와 다름없는 겸임교수 자리라 참고자료로 썼다"며 "게임산업협회의 비상근이사는 실제로 그 이사 직함을 가지고 게임산업연회 일을 상당히 도왔고 수원여대인지 폴리텍인지 겸임교수 재직증명 낼 때 정당하게 발급받아서 낸 것"이라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팩트는 교수가 아니고 시간강사와 유사한 산학겸임교수"라며 "제 처가 수상경력으로 쓴 그 작품의 출품과 그 회사 운영과정에 부사장으로 깊이 관여했다"고 해명했다.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연루 의혹에 대해 윤 후보는 "전혀 몰랐는데 그때가 결혼 전이었다"면서도 해당 의혹에 대한 첩보를 수집한 경찰 내사보고서가 언론에 공개된 데 대해 "참 어이없는 일"이라고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윤 후보는 "제가 주식 전문가는 아니지만 주가 자체가 무슨 시세조종 행위가 있었다고 보기 어려울 정도로 아주 소액의 오르내림이 있었고, 오히려 비쌀 때 사서 쌀 때 매각한 게 많아서 나중에 수천만원 손해를 보고 4~5개월 만에 돈을 인출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검찰에서 다 (계좌를 들여다)봤고 이게 만약 시세조정 공범 혐의가 조금이라도 있다면 경선 때 기소했을 것"이라며 "1년반 동안 특수부 동원해서 이런 식으로 해서 안 나왔으면 이제는 결정을 내려줘야지, 민주당 의원들이 대거 찾아가서 난리치는 바람에 처리를 안 하고 마치 의혹이 있는 것처럼 하는데 명백히 선거개입"이라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