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은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후보가 제안한 국민경선을 통한 단일화에 대해 '불가' 입장을 고수하면서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와 안 후보가 담판으로 단일화를 결정짓는 방식을 압박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윤 후보와 안 후보가 총리와 일부 내각 임명권을 가지는 김대중·김종필(DJP)연대와 국민의당에 지방선거 공천권 부여 등이 담판 카드로 검토되고 있다.
권영세 국민의힘 선대본부장은 14일 선대본 회의에서 "지금은 통큰 단일화가 필요하다"며 "여론조사로 (단일화)하는 건 좋은 방법이 아닌 것 같다"고 선을 그었다.
권 본부장은 "윤 후보도 방식에 대해 아쉽다고 한 걸로 짐작한다"며 "아직까지 실무진끼리 오가는 건 특별히 없고, 협상팀도 없다"고 해 단일화 룰 협상에 적극적이지 않은 태도를 보였다.
국민의힘이 국민경선 방식에 대해 선을 긋고 있는데는 안 후보가 4자 대결에서는 10%선에 불과해 윤 후보에 한참 미치지 못하지만 단일화를 위한 여론조사를 실시할 경우 박빙을 보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윤 후보로 단일화 되는 걸 경계하는 민주당과 여권 지지층이 '역선택'을 조장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국민의힘 내부에선 안 후보에게 실리를 안겨주고 양보를 설득하자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른바 'DJP연합'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안 후보가 완주를 고집할 때 윤 후보가 한 인터뷰에서 'DJP연합'을 모델로 한 '제2의 DJP연합'을 언급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제2의 DJP연합'은 윤석열 후보가 단일후보 나서 대통령에 당선되면 초대 총리에 안 후보를 임명하고 과학 관련 부처 등에 장관 임명권까지는 주는 방식이다.
국민의당 몫 공천 약속도 국민의힘에서 제시할 조건도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안 후보는 "이런(DJP연합) 분야는 제 고려사항이 아니다"라면서도 "만나자는 제안이 오면 그때 생각해보겠다"고 협상 가능성에 완전히 선을 긋지는 않았다.
그러나 여전히 국민의당 측은 "단일화 제안에 100% 여론조사 외에는 다른 선택지는 없다"라고 맞서고 있다.
최진석 국민의당 상임선대위원장은 "어떤 협상에서도 상대에게 양보나 사퇴를 요구하는 제안은 있을 수 없다"며 "다른 방식으로 단일화 이견을 좁혀갈 의사가 전혀 없다. 단일화 의사가 없다고 하면 독자적으로 완주하면 되는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