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동간 개발이 지지부진했던 대구 달성군 화원 지역의 숙원사업인 '구라지구 도시개발사업'이 또다시 좌초 위기에 놓였다.이에 강성환 대구시의원이 17일 5분 자유발언을 통해 달성군 화원 구라지구의 도시개발구역 지정 신청을 반려한 대구시를 규탄하며 처분 철회를 촉구한다.강 의원은 도시계획 일몰제와 관련해 개발구역을 확장하라는 행정청의 요구에 의해 구역 면적이 증가하면서 제안내용이 변경된 점을 들어 대구시도 책임을 회피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강 의원은 “이번 사태는 2016년 대구농수산물도매시장 이전 백지화 이후 대구시가 정책대안으로 ‘도시개발사업’을 제안한 일에서 시작해 주민들이 자체적으로 수십억원의 비용을 들어 전문기관 용역과 관련 행정기관 협의를 착실히 진행해왔다"며 "이를 대구시에서 일방적으로 반려하면서 생긴 문제”라고 설명했다.이어 “지역주민들은 도시계획 일몰제에 따라 계획도로가 폐지되면서 개발구역을 추가로 확장하라는 제안권자(달성군)의 수용조건을 정상적으로 이행했다"며 "그럼에도 추가 확장에 따른 주민동의서 재징구 여부의 법령해석 문제로 대구시가 사전설명도 없이 일방적으로 신청서를 반려한 것은 자신들을 무시하고 우롱하는 처사라고 강력히 분개하고 있다”고 지역 민심을 전했다.또 강 의원은 “구라지구는 인근 산업단지 등에서 발생하는 오폐수로 인해 농지기능을 상실한 생산녹지지역으로 2030년 대구도시기본계획에서도 도시개발이 필요한 지역으로 분류하고 있다”며 “그런데도 대구시는 20여년 동안 현실성 없는 개발계획만 남발하고 이것이 번번이 무산되면서 주민들에게 실망감만 안겨 줬고 땅값만 올리도록 부추겼다”고 개탄했다. 그러면서 “대구시의 주민 재동의 요구는 과도한 재량권 남용이므로 반려 처분을 철회해야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며 "화원의 입지적 특성과 주변의 경제, 교통, 관광 등의 환경적 특성을 감안해 화원 지역 발전의 기폭제가 될 수 있도록 ‘구라지구 도시개발사업’에 대구시가 적극적인 행정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한편 달성군 화원읍은 최근 대규모 신규 주거단지로 급부상하고 있는 월배권과 인접한 도심의 한 축이며 도시철도 1호선 설화명곡역 및 대곡역이 위치해 있다. 올 상반기 개통 예정인 대구외곽순환도로와 2027년 개통예정인 대구산업철도와 이에 더해 향후 남부내륙고속철도, 달빛내륙철도의 개통이 예정돼 있는 등 서부광역권의 중심거점으로 성장하고 있다. 또 달성습지를 중심으로 강정보, 디아크문화관, 생태학습관, 화원동산, 화원유원지, 사문진나루터 등이 주변에 위치해 순천만 국가정원에 버금가는 대구 대표 관광지로도 육성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