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선 후보와 더불어민주당이 야권 단일화 제안을 철회한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에게 '통합정부론'을 내세워 구애를 재개했다.  이 후보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초박빙 접전을 벌이고 있는 상황에서 독자 지지층을 보유한 안 후보의 합류는 대선의 풍향계를 바꿀 변수가 될 수 있어서다. 통합정부 구애의 성과와 별개로 윤 후보 중심 야권 단일화를 견제하고 안 후보의 완주를 유도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정권 심판론의 기폭제가 될 야권 단일화는 친문 표심 흡수를 위해 문재인 정부와 차별화를 포기한 이 후보에게 치명타다.  반면 안 후보의 완주는 야권표 분열을 야기해 어부지리를 얻을 수 있다. 이 후보는 안 후보가 윤 후보와 단일화 제안을 철회한 당일인 20일 페이스북에 "안 후보님의 고뇌에 공감한다"며 묻지마 정권교체 대신 더 나은 정치교체를 주장했다.  비주류인 이 후보가 양당 체제 개혁을 내세워 안 후보와 연대 명분을 조성하면서 약점인 정권 심판론을 무마하기 위한 시도로 풀이된다.그는 "87체제 아래 양당독점체제는 국민에게 양자택일을 강요했고, 제3의 선택이 불가능한 정치환경은 상대의 실패가 나의 기회가 돼 선의의 경쟁보다 발목잡기가 능사인 구체제 정치를 낳았다"고 주장했다.그러면서 "이제 더 나쁜 '묻지마 정권교체'를 넘어 더 나은 '정치교체'가 돼야 하고, 정치교체가 세상교체 시대교체를 이끌어내게 해야 한다"고 했다.이 후보는 "국내외 위기가 미래를 위협하는 엄중한 상황에서 퇴행적 정쟁의 구체제 정치를 종식하고, 대한민국의 변화와 개혁을 위해 미래와 통합으로 나아가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이어 "안 후보님의 구체제 정치 종식과 새정치를 향한 정치교체의 열망과 의지에 공감한다"고 했다.송영길 대표도 20일 당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통합정부론을 내세워 구애를 이어갔다. 그는 지난해 연말에도 안 후보와 선거 연대에 군불을 땐 바 있다. 그는 "일관되게 말씀드렸듯 안 후보가 주장하는 과학기술강국을 이 후보가 전폭 수용해 과학기술부총리 공약으로 흡수했다"며 "이번 선거에서 공학적인 단일화 여부를 넘어 저희가 집권해도 통합정부를 구성하겠다는 자세를 갖고 항상 열려 있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강조했다.그러면서 "안 후보가 제시하는 과학기술강국 어젠다를 소중하게 생각하고, 잘 수용할 자세가 돼 있다"고 거듭 가능성을 열어뒀다. 그는 "이준석 대표와 윤석열 후보 등 국민의힘 측에서 너무 안 후보를 모욕하고, 모멸감을 준 결과가 아닌가 한다"고 국민의힘 때리기도 잊지 않았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