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마지막 승부수인 정치개혁과 통합정부론이 일부 제3지대와 사회인사의 지지를 끌어내면서 반윤연대 또는 반윤 빅텐트로 몸집을 불려가고 있다.
  문재인 정부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출신 김동연 새로운물결 후보는 2일 이 후보 지지를 선언하며 후보직을 전격 사퇴했다. 박근혜·문재인 정부의 무리한 국정운영에 각을 세우다 사표를 던진 인물로 중도성향으로 분류된다.
민주당은 지지율 1% 미만 군소 후보지만 중도 상징성을 갖고 있는 김 후보의 선택이 정권심판론을 대선 구도에서 밀어내고 정치개혁과 통합정부를 골자로 한 '담론의 연대'를 이끌어내 중도층 공략에 도움이 되길 기대하는 눈치다.
  반윤연대의 파괴력을 좌우할 안 후보와 심 후보는 이 후보와 민주당의 제안에 뚜렷한 호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안 후보는 정권 교체라는 출마 명분과 지지층의 야권 단일화 요구를 감안하면 이 후보의 손을 들어주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심 후보도 정의당의 향후 입지를 고려할 때 정치적 선명성을 극대화하는 완주가 불가피하다.
  안 후보 또는 심 후보와 물리적인 선거 연대를 끌어내지 못하더라도 지지층의 심정적 동의를 이끌어내 이 후보로의 이탈 또는 전략적 선택을 유도하겠다는 취지다.
  이 후보가 띄운 통합정부에는 사회·종교 원로들도 합류하고 있다.
  윤여준 전 환경부 장관과 법륜 평화재단 이사장 등 과거 안 후보의 '멘토'들이 포함된 대한민국 국민통합을 위한 연합정부추진위원회 소속 원로 20명은 전날 주요 대선 후보들에게 통합정부 구성을 공개 요구했다.
윤 전 장관과 법륜 이사장 등이 이 후보를 공개 지지한 것은 아니지만 이 후보가 띄운 의제에 호응하는 듯한 모습은 안 후보 지지층 또는 중도층에 전략적 선택을 자극할 수 있다.
김종인 전 국민의힘 총괄선대위원장도 이 후보의 통합정부론에 대해 옳은 방향이라고 힘을 실었다. 김 전 위원장은 경제 민주화 의제로 중도층에 소구력을 갖고 있는 인물이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동생인 박근령 전 육영재단 이사장도 3일 통합과 정치교체를 명분 삼아 이 후보 지지를 선언했다.
이 후보와 민주당의 정치개혁과 통합정부 제안은 정파와 이념, 지향을 초월해 이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