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선거를 일주일 앞둔 2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초접전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날 공개된 2개 여론조사에서 이 후보가 윤 후보에게 0.1%p, 윤 후보가 이 후보에게 3.2%p 격차로 각각 오차범위내에서 각각 우위를 보이며 박빙의 승부를 벌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뉴시스가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에 의뢰해 지난달 28일과 이달 1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7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번 대선에 출마하는 후보 중 누구에게 투표하겠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46.3%가 윤 후보를, 43.1%가 이 후보를 꼽았다.두 후보 간 지지율 격차는 3.2%포인트로 오차범위(±3.1%포인트) 내였다.약 4주 전인 지난달 3~4일 실시된 같은 조사와 비교해 윤 후보는 3.0%포인트, 이 후보는 1.3%포인트 올랐다. 당시 두 후보 간 격차는 1.5%포인트였는데 이번에 그 격차가 다소 커졌다.대선 레이스가 막판에 접어들면서 양 진영 지지층이 총결집함으로써 두 후보 모두 지지율이 오른 결과로 풀이된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후보와 심상정 정의당 대선후보 지지율은 각각 6.7%, 1.9%씩으로 조사됐다. '기타후보'는 0.9%, '지지후보 없음'은 0.5%, '잘모름'은 0.7%다. 4주 전 조사와 비교해 안 후보는 0.8%포인트, 심 후보는 0.7%포인트 빠졌다. 이 역시 당선 가능성이 높은 이 후보와 윤 후보 쪽으로 지지층이 몰린 결과로 보인다.지역별로 보면 윤 후보는 보수 텃밭인 대구·경북(TK)과 부산·울산·경남(PK)에서 59.3%, 53.0%로 과반을 넘겼다. 이 후보는 TK에서 29.3%, PK에서 39.9%를 얻었다.주요 선거의 '캐스팅보터'로 꼽히는 대전·충청·세종에서도 윤 후보가 51.0%로 이 후보(33.8%)를 앞섰다. 보수세가 강한 강원도 윤 후보가 46.7%로 이 후보(32.6%)를 앞섰다.반대로 민주당 텃밭인 광주·전남·전북에서 이 후보는 64.6%를 기록하며 24.4%에 그친 윤 후보를 따돌렸다. 제주에서도 이 후보가 70.5%로 윤 후보(21.9%)를 크게 앞섰다.최대 승부처인 수도권은 접전 양상이었다. 서울과 인천·경기에서 윤 후보는 각각 45.7%, 45.5%를 기록했으며 이 후보는 42.4%, 45.9%였다.이번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2022년 1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기준으로 림가중 방식의 성별·연령대별·권역별 가중치를 부여했다.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자동응답(ARS) 조사로 유선(5%), 무선(95%) 병행 무작위 생성 표집틀을 통한 임의 전화걸기로 이뤄졌다. 응답률은 10.4%다.자세한 사항은 리얼미터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또한 JTBC가 여론조사기관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여론조사 공표가 금지되기 전 마지막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는 42.3%,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는 36.6%의 지지율을 기록했다.지난달 28일부터 1일까지 이번 대선에서 누구에게 투표할지 물은 결과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후보는 6.7%, 심상정 정의당 대선후보는 2.9%의 지지를 받았다. 아직 지지하는 후보가 없거나 모르겠다는 부동층은 10.6%로 나타났다.윤석열 후보와 이재명 후보, 양강 후보의 지지율 격차는 오차범위 내인 5.7%p이다. 지난 조사(2월 19~20일)에선 윤 후보가 42.4%, 이 후보가 34.1%로 윤 후보가 오차범위 밖(8.3%p)에서 앞섰다. 격차가 다시 좁혀지면서 접전 양상을 보였다.이번 조사에선 지지층 결집 현상도 확인됐다. 현재 후보를 계속 지지할 것인지 여부를 묻자 이재명 후보의 지지자는 90.1%, 윤석열 후보의 지지자는 94%가 현재 후보를 계속 지지하겠다고 답했다. 심상정 후보 지지층에선 52.4%, 안철수 후보 지지층에선 64.2%가 지지 후보를 바꾸지 않겠다고 했다.이번 조사는 2022년 2월 28일(월)부터 3월 1일(화)까지 2일간 진행됐다. 조사 대상은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6명이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 3.1% 포인트다. 응답률은 20.9%. 표집틀은 3개 통신사에서 제공된 휴대전화 가상(안심) 번호 무작위 추출이다. 표본추출방법은 성별, 연령대별, 권역별 인구 구성비에 따른 비례할당추출이다. 
조사방법은 CATI(Computer Aided Telephone Interview)를 활용한 전화면접조사다. 통계보정은 성별, 연령별, 지역별 가중값 부여. (셀가중, 2022년 1월 말 행정안전부 발표 주민등록 인구 기준) 자세한 조사 개요와 결과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