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신문=김범수기자] 대구시의회가 원활한 의정활동 지원과 정책역량 강화를 위해 '정책지원관' 7명을 임명하고 전국 최초로 '정책지원팀' 시범 운영에 들어갔다.
 
‘정책지원관'은 지방의회의원의 자치법규 안건 발의는 물론 의회의 의결사항과 관련한 의정자료 수집 및 현안 과제 해결을 지원하기 위해 지방자치법 개정에 따라 올해 처음 도입된 정책지원 전문인력이다.6일 시의회에 따르면 지난 1월 25일 정책지원관 7명을 임명했으며 이 중 4명은 각 상임위원회 마다 1명씩 배정하고 3명(상임위 의원정수의 1/2범위)을 문화복지위원회 정책지원팀으로 배치해 전국서 처음으로 정책지원팀을 구성해 선제적인 시범 운영을 시작했다.
  이번에 구성된 ‘문화복지위원회 정책지원팀’은 시민속으로 달려가는 ‘정책 라이더’라 자칭하고 적극적인 정책발굴을 통한 의원들의 정책역량 향상은 물론 집행부에 대한 견제·감시 기능 강화를 위해 최선을 다해 지원할 방침이다. 또 시의회는 ‘정책지원관’을 임용하기 위해 임기제공무원 신규채용 절차를 진행하고 있는 타시도 의회와는 달리 일반직공무원 중 공모방식을 통해 선발된 풍부한 행정 경험과 전문성을 갖춘 우수한 인력을 배치했다.
 
이에 집행부와 원활한 협의, 시책 연구과제 발굴 등 의정활동의 질적 향상 및 폭넓은 분야의 의정활동 지원이 기대된다.시의회는 ‘문화복지위원회 정책지원팀‘ 시범 운영 결과와 제9대 시의원 등의 다양한 의견을 반영해 2023년(15명까지 확대, 대구시의회 의원정수의 1/2범위)에는 ‘정책지원관’ 운영 방법을 최종 결정할 예정이다.김재우 대구시의회 문화복지위원장은 "정책지원관 제도 도입 후 첫 임시회 문복위 소관 업무보고에서 의원들의 다양한 정책 질의가 쏟아졌고, 이달 제289회 임시회에도 의원발의 조례안 2건이 상정될 예정"이라며 "정책지원팀이 의정 활동에 많은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장상수 대구시의장은 “앞으로 정책지원관 제도를 효율적으로 활용해 대구시민들의 다양한 정책 주문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배달하는 대구시의회로 거듭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