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우리나라에서도 원숭이두창 확진자가 처음으로 발생했다. 질병관리청은 22일 "21일 인천공항을 통해 귀국해 의심 증상을 보인 내국인 A씨에 대해 유전자증폭(PCR) 검사와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을 한 결과 확진자로 판정했다"고 밝혔다. A씨는 입국 전인 지난 18일 두통 증상이 있었고, 입국 당시에는 37.0도의 미열과 인후통, 무력증(허약감), 피로 등 전신증상과 피부병변을 보였다. A씨는 독일에서 지난 21일 오후 입국 후 본인이 질병관리청에 의심 신고해 국가 지정 입원치료병상인 인천의료원에 이송돼 치료와 검사를 받았다. 
  
방역 당국은 확진자 발생에 따라 감염병 위기 수준을 '관심'에서 '주의'로 격상하고, 현재의 대책반을 질병관리청장이 본부장인 중앙방역대책본부로 격상해 다부처 협력체계를 강화하기로 했다. 정부는 원숭이두창이 코로나19처럼 전파력이 높지 않은데다 이미 백신과 치료제가 있기 때문에 지나치게 우려할 필요는 없다고 보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정부와 방역 당국은 첫 확진자가 발생한 만큼 초기부터 철저히 대처해 사태가 확산하지 않도록 만전을 기하기 바란다.
이런 가운데 A씨와 같은 날인 21일 의심 환자로 신고된 외국인 B씨에 대해서는 음성 판정이 나왔다. B씨는 수두 감염으로 확인됐다고 한다. 하지만 B씨 입국 과정에서 의심 증상이 있는데도 검역 과정에서 의심 환자를 걸러내지 못한 정황이 드러났다. 그는 지난 20일 항공편으로 입국하면서 건강상태질문서에 '증상 없음'으로 표시했고, 방역 당국이 입국자 전원에 대해 발열 검사를 하고 있지만 B씨가 검사 기준 이상의 발열은 없어서 검역장을 빠져나올 수 있었다고 한다. 결과적으로 검역망이 의심 환자를 찾아내지 못한 것인데, 방역 당국은 이런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검역망을 더욱 촘촘하게 재구축해야 할 것이다.
한편 방역 당국이 이날 올해 여름을 "코로나 재유행의 도화선이 될 수 있는 중요한 시기로 본다"고 경고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후 처음 맞이하는 이번 여름 휴가철에 국내외 여행객이 크게 늘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코로나19가 재유행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지난해 여름에도 휴가철 이동량 증가에 따라 하루 확진자가 1천 명을 넘으며 4차 유행이 발생한 바 있다. 정부는 이에 따라 예방접종과 마스크 착용, 환기 등 방역수칙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우선 여행 전 코로나 백신 미접종자는 3차 접종까지, 60세 이상 고령층은 4차 접종까지 완료할 것을 권고했다. 또한 항상 실내 마스크를 착용하고, 야외에서도 50인 이상이 모인 공연이나 행사에서는 마스크를 착용할 것을 요청했다. 이와 함께 의심 증상이 있을 경우 가까운 동네 병·의원을 방문해 진단을 받고, 가정과 시설에서 환기 수칙을 준수하도록 당부했다. 최근 유럽 전역에서 코로나19 오미크론 하위변이 확산으로 코로나19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는 외신 보도도 나왔다. 방역 당국의 대비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국민 각자가 방역 수칙을 준수해 안전하고 건강하게 여름철을 보낼 수 있도록 하는 게 더욱 요구되는 시점이다.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