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여름휴가를 마치고 8일 복귀한다. 휴가 기간 만 5세로의 취학연령 학제 개편과 부인 김건희 여사가 거론된 대통령 관저 공사 등 민감한 현안들이 논란의 중심을 장식하며 윤 대통령의 지지율은 24%까지 하락했다. 한국갤럽이 2~4일 전국 18세 이상의 성인남녀 1천1명을 상대로 실시한 대통령 직무평가 조사에서 이처럼 윤 대통령의 지지율은 취임 후 최저치로 떨어진 반면 '윤 대통령이 잘못하고 있다'는 응답은 66%까지 치솟았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7일 브리핑에서 윤 대통령이 업무에 복귀하는 대로 "어떤 형태로든 더 낮은 자세로 국민 뜻을 받들고 이를 국정에 반영하겠다는 뜻을 밝힐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른바 인적 쇄신론에 대해서는 "취임 석 달이 채 지나지 않은 만큼 대통령을 모셨던 부족함이 드러난 참모들에 대해 다시 한번 분발을 촉구하는 당부를 하실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하지만 대통령실 주변에서는 윤 대통령이 참모진 재편 등 인적 쇄신을 통한 정국 돌파에는 여전히 부정적인 입장이라는 말이 흘러나왔다.  제대로 된 처방을 위해서는 냉정한 진단이 필수적이다. 집권 3개월밖에 되지 않은 정권의 지지율 속락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는 것이다. 갤럽 조사를 보면 윤 대통령의 지지율이 대선 득표율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진 데는 인사(23%), 경험·자질 부족·무능함(10%)이 주요인으로 꼽혔다. 능력주의와 공정을 표방한 윤 대통령의 용인술은 검찰과 측근 위주의 대통령실 인사 논란 등으로 인해 빛이 바랬다. 경찰국 신설과 5세 취학연령 하향 등 논쟁적 어젠다의 추진 과정에서 여론 수렴을 무시하고 졸속으로 밀어붙인 일방주의에 대해서는 권력의 오만과 '내로남불'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김건희 여사와 관련한 잡음이 다시 불거지는 것도 불안한 대목이다. 대통령 배우자와 친인척, 대통령실 고위직을 감찰하는 특별감찰관을 하루속히 부활해 주변을 관리해야 한다는 지적을 윤 대통령은 귀담아들어야 한다.  지지율 하락세가 멈추지 않는다면 윤 대통령이 국정 동력을 회복하기가 여의치 않을 것이다. 일각에서는 휴가를 마친 윤 대통령이 수석비서관 회의나 국무회의 등을 통해 '재출발'의 자세로 국정에 임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피력할 것이라는 말이 들린다. 오는 15일 광복절 경축사나 특별사면을 통해 국민 통합이나 미래 지향적인 메시지를 낼 가능성도 주목된다.  하지만 지금은 핵심 지지층마저 이탈 조짐을 나타내는 상당한 위기의 상황이라는 점에 윤 대통령이 눈감아서는 안 된다. 적절한 수준의 인적 쇄신과 국정운영 스타일의 변화를 통해 국정 전반에 새로운 바람을 불어넣는 방안을 모색하는 게 바람직할 것이다. 실기해서는 안 된다. 윤 대통령의 결단을 기대한다. 복합 경제 위기의 태풍이 몰려오고 있다. 여당인 국민의힘도 내홍을 서둘러 매듭짓고 정책과 입법으로 윤 대통령의 국정운영을 뒷받침하기를 바란다. 연합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