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날로그시대에서 디지털 시대를 맞아 누구나 콘텐츠를 제작하고 공유하는 환경이 조성되면서 지역 내 미디어 교육과 창작 지원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구미영상미디어센터가 시민들의 창작과 학습을 돕는 거점으로 자리 잡고 있다.지난해 총 22851명(드림큐브 5846명 포함)이 센터를 방문해 0∼10대 방문 비율이 49%에 달해 미래 미디어 인재 양성의 중심지로 주목받고 있다. 드림큐브를 제외한 센터 방문객 분석 결과, 0∼10대 8344명(49%)으로 가장 많았다.이어 40대 3755명(22%), 30대 3401명(20%), 50대 이상 방문객도 990명(6%)에 달해 전 세대가 함께하는 미디어 문화 공간으로 자리 잡았다.이용 유형별로는 시설 대관이 11790명 (69%)으로 가장 많았고 이 중 상영관 이용이 8877명(75%)으로 큰 비중을 차지했다. 미디어 라운지는 1948명(17%)이 이용하며 시민들의 미디어 체험 및 창작 공간으로 활용됐다.구미영상미디어센터는 경북 최초의 영상미디어센터로 시민들이 영상 제작부터 상영, 편집까지 한곳에서 해결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시설과 장비를 갖추고 있다. 디지털카메라, 캠코더, 삼각대 등 총 39종 212대의 장비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시민들께 대여해 영상 제작을 지원하고 있다. 1층에는 3D 상영과 7.1채널 서라운드 오디오 시스템을 갖춘 상영관, 미디어 라운지, 기자재실, 2층에는 라디오 스튜디오, 1인 스튜디오, 편집실 등 영상 제작과 교육을 위한 공간이 마련돼 있다. 전시 컨테이너 6개 동으로 구성된 드림큐브는 다양한 전시 콘텐츠를 제공하며 시민들의 문화 감각을 자극하고 있다.구미영상미디어센터는 시민들이 영상 제작과 편집 기술을 익힐 수 있도록 지난해 모두 21개 강좌가 개설돼 4113명의 시민이 수강했다. 영상 촬영·제작·편집은 물론 태블릿PC를 활용한 디지털 드로잉, 사진 촬영, 스피치, 스마트폰 활용 강좌 등 맞춤형 교육이 진행됐다.특히 삼성전자와 협업한 ‘갤럭시 아카데미’를 통해 스마트폰 최신 기능과 애플리케이션 활용법을 교육해 큰 호응을 얻었다. 강좌는 무료 또는 최대 1만 원의 저렴한 비용으로 운영돼 시민들의 접근성을 높였다.김장호 구미시장은 “시민들께 미디어 기술을 배우고 창작할 기회를 넓혀, 구미를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문화도시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