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적으로 10대 감염 관련 사망 원인 중 하나로 꼽히는 'A군 연쇄상구균'의 침습 감염 사례가 최근 해외에서 급증, 공중 보건에 비상이 걸렸다.    A군 연쇄상구균은 피부 감염부터 치명적인 독성쇼크증후군까지 다양한 질병을 일으키는 세균으로 우리나라에는 아직 국가 차원의 감시체계가 없어 정확한 발생 현황조차 파악하기 어려운 '깜깜이 방역' 상태라는 지적이 나왔다.3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이현주 교수 연구팀은 작년 7월부터 올해 3월까지 수행한 '국내 침습성 A군 연쇄상구균 감시체계 구축' 연구를 통해 국내 침습성 A군 연쇄상구균 감염 실태를 처음으로 분석하고, 시급한 감시체계 구축 방안을 담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침습성 A군 연쇄상구균은 주로 인후염의 원인이 되는 A군 연쇄상구균이 혈액, 근육, 뇌척수액 등 정상적으로 균이 없는 신체 부위에 침투해 발생하는 심각한 감염이다. 패혈증, 괴사성 근막염, 독성쇼크증후군 등 치명적인 질환을 일으킬 수 있어 생명을 위협하기도 한다.연구팀이 최근 10년간(2015∼2024년) 국내에서 확인한 침습성 A군 연쇄상구균 감염 사례는 총 383사례에 달했다. 이 중 성인 환자가 319사례(83.3%)로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소아 환자는 64사례(16.7%)였다. 이는 공식적인 감시체계가 없는 상황에서 수집된 자료인 만큼, 실제 감염자는 더 많을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감염 결과는 충격적이었다. 전체 환자의 41.5%(159사례)가 수술이나 피부 절개술을 받아야 했고, 1.3%(5사례)는 팔다리 등을 절단하는 수술까지 받아야 했다.    또한, 환자 27.2%는 중환자실에서 집중 치료를 받아야 할 만큼 상태가 심각했다. 무엇보다 우려스러운 것은 높은 사망률과 후유 장애 발생률이다. 전체 환자의 14.4%가 감염 탓에 사망했고, 11.7%는 심각한 후유 장애를 겪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감염자 7명 중 1명이 사망하고, 10명 중 1명 이상이 평생 장애를 안고 살아가야 할 수 있다는 의미다.설상가상으로, 최근 해외에서 독성이 많이 증가한 것으로 보고된 'M1UK' 변이 A군 연쇄상구균이 국내에서도 2020년과 지난해 1건씩 총 2건 확인됐다. 이 변이 균주는 기존 균주보다 더 빠르고 심각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어 전 세계 보건 당국이 예의주시하고 있다.연구팀에 따르면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일본 등 주요 선진국들은 이미 침습 A군 연쇄상구균 감염에 대한 국가 차원의 감시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대부분 모든 환자를 빠짐없이 등록해 관리하는 '전수 감시체계'를 통해 감염병의 확산 양상, 유행 변이 등을 면밀히 추적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는 아직 관련 감시체계가 전무한 실정이다. 이로 말미암아 국내 환자 발생 규모나 역학적 특성, 위험 요인 등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고, 유행 발생 시 조기 인지 및 신속한 대응이 어렵다는 것이 연구팀의 지적이다.실제로 연구팀이 감염병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의 85.4%가 A군 연쇄상구균 감염으로 발생하는 성홍열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와 방역 대책 수립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국내 현실에 맞는 침습 A군 연쇄상구균 감염 감시체계 모델을 제안했다. 전문가들은 독성이 강한 변이 균주의 국내 출현까지 확인된 만큼, 더 이상 침습 A군 연쇄상구균 감염을 '드문 질병'으로 치부해서는 안 된다고 목소리를 높인다. 갑작스러운 고열, 심한 인후통, 피부 발진, 전신 무력감 등의 의심 증상이 나타날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찾아 진료받는 등 국민 개개인의 주의도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