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새벽 날아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협상 서한'에 대통령실이 급박하게 움직이며 사활을 건 '관세 인하' 총력전에 나섰다.트럼프 대통령은 7일(현지시간) 이 대통령 앞으로 오는 9일부터 부과할 예정이던 상호관세 25% 적용 시점을 유예해 8월 1일부터 부과하겠다는 서한을 발송했다. 서한에서 미국이 한국산 제품에 부과하겠다고 통보한 관세율은 25%로 이전과 동일했지만 부과 개시 시점은 당초 이번 달 9일에서 다음 달 1일로 늦춰졌다.이와 관련, 대통령실은 이날 오후 김용범 정책실장 주재로 통상 관계부처 긴급회의를 열어 대책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대통령실에서 하준경 경제성장수석, 오현주 국가안보실 3차장이, 정부에서 문신학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 이형일 기획재정부 1차관, 김진아 외교부 2차관 등이 참석했다.
 
김 실장은 회의에서 "당장 관세율이 인상되는 상황은 피했고, 7월 말까지 대응 시간을 확보했다"며 "국익을 최우선으로 미국과의 협상 준비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다행히 현재 시장 반응은 차분하지만 수출 등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점검해야 한다"며 "자동차·철강 등 관련 업종에 대한 지원 대책도 차질 없이 이행하는 동시에 시장 다변화 등 수출 대책도 보강하라"고 주문했다.
또 "새 정부 출범 이후 한 달 남짓한 기간 한미 통상장관·안보실장 협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 등 양자·다자회의를 계기로 양국 간 호혜적 결과 도출을 위해 최선을 다했지만, 다양한 이슈를 포괄해 최종 합의까지 도달하기에는 시간이 부족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조속한 협의도 중요하지만 국익 관철이 더 중요한 가치"라고 거듭 강조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미국 워싱턴DC에 급파한 위성락 안보실장으로부터 현지 상황에 대해 실시간으로 긴밀히 보고받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현시점 이 대통령의 최우선 목표는 관세 부과 일까지 남은 24일간 최대한 관세율 인하를 끌어내는 것이며, 동시에 이런 협상을 조금이라도 유리하게 타결시키기 위해 한미정상회담을 조기 개최하는 것으로 요약된다. 미국이 약 3주의 시간을 추가로 제시한 것은 그만큼 협상 의지가 강하다는 뜻으로도 읽히는 만큼 대통령실과 정부는 협상에 박차를 가해 성과를 도출하겠다는 의지를 다지고 있다.특히 통상 협상 실패는 곧 임기 초 국정 동력 약화를 불러오는 등 이 대통령으로서도 일정 부분 타격이 불가피한 만큼 공식 채널뿐 아니라 비공식 채널까지 동원하는 '올코트 프레싱'에 나서 협상에 임하는 모습이다.
 
대통령실은 현재 미국 워싱턴DC에 급파된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9일 귀국하면 정책실과 안보실 공동회의를 통해 상황을 점검하고 대응책을 협의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