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전기차 보급이 부진하자 휘발유차 등 내연기관 자동차를 전기차로 바꾸면 '전환지원금'을 추가로 지원하는 방안을 재추진할 것을 검토하고 있다. 9일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는 박홍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제출한 인사청문회 답변서에서 "내연차 구매 매력도가 여전히 높다"면서 "전기차를 효과적으로 보급하기 위해서는 전기차 보급 활성화와 함께 내연차 감축을 유도하는 정책 수단을 도입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밝혔다.김 후보자는 "(환경부 내에서) 내연차 전환보조금 논의가 있었던 것으로 아는데 그간 논의를 살펴보고 이를 포함해 다양한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덧붙였다.전기차가 늘어나곤 있으나 증가세가 정부 목표만큼 빠르지는 않다. 지난해의 경우 정부의 전기승용차 보급 목표는 23만3000대였으나 실제 새로 등록된 전기차는 12만2675대에 불과했다. 올해 목표는 26만대인데 상반기까지 등록 대수가 8만310대에 그쳤다.전기차 보급이 정부 목표만큼 이뤄지지 않다 보니 구매보조금 예산 상당 부분이 쓰이지 못하고 남는 일이 최근 반복되고 있다. 작년의 경우 전기차 보급사업 예산 집행률이 67.8%에 그쳤다. 2022년과 2023년 예산 집행률도 80%대 초반에 불과했다.전기차 보급사업 예산이 반복해 남는 상황에 지난 4일 국회 본회의에서 의결된 제2회 추가경정예산에서 환경부 무공해차 보급 예산이 3622억5000만원 감액됐다.전기차 등록 대수를 보면 2018년 5만5756대에서 작년 68만4244대로 크게 늘기는 했다. 다만 같은 기간 휘발유차 등록 대수도 1063만대에서 1242만대로 16.8% 증가해 전기차의 내연차 대체 효과는 기대보다 적은 것으로 분석된다.앞서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서 2차 추경을 통해 내연차 전환지원금을 신설하는 방안이 통과됐으나 최종적으로는 반영되지는 못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