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보좌관 갑질 및 거짓 해명 논란 끝에 23일 후보직에서 자진 사퇴함에 따라 대통령실의 인사검증 시스템이 다시 도마 위에 오르게 됐다.강 후보자의 사퇴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달 23일 지명한지 30일 만이다. 2005년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 제도가 도입된 이후 현역 국회의원 낙마는 처음이다. 이재명 정부 장관 후보자로는 이진숙 전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이어 두 번째다.강 후보자는 이날 오후 페이스북에 입장문을 올려 "그동안 저로 인해 마음 아프셨을 국민께 사죄의 말씀을 올린다"며 "모든 것을 쏟아부어 잘해 보고 싶었으나 여기까지였던 것 같다"고 밝혔다.그는 "저를 믿어주시고 기회를 주셨던 이재명 대통령님께도 한없이 죄송한 마음뿐"이라며 "함께 비를 맞아줬던 사랑하는 우리 민주당에도 제가 큰 부담을 지워드렸다"고 언급했다. 또 "이 순간까지도 진심으로 응원해 주시고 아껴주시는 모든 분의 마음을 귀하게 간직하겠다"며 "큰 채찍 감사히 받아들여 성찰하며 살아가겠다"고 했다.앞서 강 후보자는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보좌관 갑질 의혹이 제기됐으며 이를 해명하는 과정에서 거짓말을 했다는 논란까지 불거졌다. 여기에 더해 이른바 '예산 갑질' 주장도 나오는 등 논란이 확산됐다.이에 따라 야당인 국민의힘은 물론 진보 정당과 친여권 시민사회까지 사퇴 요구가 계속됐다. 이 대통령은 전날 국회에 강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 보고서를 오는 24일까지 보내달라고 요청하면서 강 후보자에 대한 임명 수순에 들어갔다.그러나 강 후보자를 둘러싼 비판과 논란이 사그라들지 않자 강 후보자는 재송부 시한을 하루 앞둔 이날 자진 사퇴 결정을 했다.   이와 관련,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강 후보자가 자진 사퇴를 발표하기 직전 이 대통령에게 관련 보고가 먼저 이뤄졌으며 "이 대통령은 강(훈식) 비서실장의 보고를 받은 후 별다른 말씀이 없으셨다고 한다"고 전했다.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논문 표절 의혹과 강종욱 국민통합비서관의 비상계엄 옹호 발언이 물의를 빚은 데 이어 강 후보자의 사퇴가 이어지자 대통령실 인사 검증 시스템에 허점이 있다는 지적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인수위원회 없이 정부가 출범한 점을 고려하더라도 충분히 거를 수 있는 문제들을 거르지 못했다는 점에서 인사 검증 시스템이 보완되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