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역점적으로 추진해 온 ‘대구 미래스마트기술 국가산업단지’(가칭 제2국가산단) 조성사업이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조사(예타)를 최종 통과했다고 29일 밝혔다.이는 2009년 대구국가산단 지정 이후 16년 만의 국가산단 추가 조성 사례로 시는 이번 예타 통과를 계기로 AI 기반 미래모빌리티와 첨단로봇 산업을 집약한 미래산업 거점 조성에 본격 착수할 방침이다.시에 따르면 제2국가산단은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예타 결과 경제성(B/C) 1.05, 종합평가(AHP) 0.524를 기록해 사업성과 정책성을 모두 충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단지 사업 가운데 B/C 1.0 이상은 드문 성과로 특히 11개 국가산단 후보지 중 가장 빠른 예타 통과 사례로 꼽힌다.이번에 조성될 제2국가산단은 달성군 화원읍·옥포읍 일원 255만㎡(약 77만 평) 규모로, 국비 약 1조8000억 원이 투입되는 대형 국책사업이다. 시는 2030년 말 조성 완료를 목표로 관련 후속 절차에 속도를 낼 예정이다.시는 지난해 12월 예타 대상에 선정된 이후 경제부시장 주재 TF를 중심으로 240여 개 기업과 MOU 및 입주의향서를 체결하며 실수요 기반의 대응에 나섰다. 이 과정에서 기업 현장을 직접 방문하며 입지 여건, 산업 경쟁력 등을 적극 홍보한 결과 첫 도전 만에 예타 통과라는 이례적인 성과를 거뒀다.시 관계자는 “제2국가산단은 기초 조사 단계부터 실수요 기반의 철저한 준비가 돋보였으며 첫 시도 만에 예타를 통과한 것은 매우 이례적”이라고 설명했다.산단이 조성될 화원·옥포 일대는 중부내륙고속도로 화원옥포IC, 광주대구고속도로, 국도 5호선 등 사통팔달의 교통망과 함께 인근 주거·교육 인프라가 잘 갖춰진 점에서 기업과 근로자 모두가 선호하는 입지로 평가받는다.또 인근 산단 대비 약 70% 수준의 저렴한 분양가와 높은 산업용지 비율(65%) 등 기업 친화적 여건이 더해져 탄탄한 투자환경이 마련돼 있다.시는 AI 기반 미래모빌리티, 첨단로봇 산업을 주력으로 한 ‘미래 스마트기술 산업단지’로 제2국가산단을 특화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신산업벨트 구축, 융합거점 조성, 전략적 기업 유치, 스마트그린산단 조성 등 4대 육성전략을 추진할 계획이다.특히 기회발전특구 추가 지정을 통해 세제 혜택과 보조금 등을 제공해 국내외 앵커기업 유치에 속도를 낼 예정이다. 저탄소 전환에 대응한 친환경·디지털 기반의 산단 모델도 함께 구축한다.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은 “이번 예타 통과로 16년 만에 국가산단을 신규 조성해 미래스마트기술의 선도거점으로 도약하는 계기를 마련했다”며 “제2국가산단의 신속한 착공과 성공적인 조성을 통해 대구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