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제임스 로빈슨 시카고대 교수는 12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대해 "유럽연합(EU)보다 더 적합한 다자주의 플랫폼"이라며 미중 간 무역전쟁으로 촉발된 보호주의 흐름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로빈슨 교수는 이날 한국경인협회와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공동 주최로 열린 '제32차 태평양경제협력위원회'(PECC) 총회에서 "APEC의 '열린 지역주의'는 자발성, 개방성, 비구속성, 합의 기반 협력에 원칙을 두고 있다"며 "'열린 지역주의' 원칙은 다자주의의 쇠퇴와 보호주의 강화 등 '닫힌 지역주의'로 회귀하려는 글로벌 흐름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이라고 평가했다.   특히 APEC이 '국가' 대신 '경제체' 개념을 사용하는 점을 높이 평가하며 "더 유연한 정체성이 필요한 시대에 새로운 글로벌 아키텍처 구축을 구상하는 데 유럽연합(EU)보다 더 적합한 플랫폼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로빈슨 교수는 한국에 대해선 "휴대폰, 선박, 자동차뿐만 아니라 K-팝, 오징어게임, K-뷰티까지 경제적·문화적으로 놀랍도록 창조적인 사회"라며 "APEC 내에서 다양한 대화와 협력을 주도적으로 이끌어 갈 잠재력이 있다"고 말했다.이날 총회가 열린 PECC는 APEC의 주요 싱크탱크이자 공식 옵서버(참관단체)로서 정부, 기업, 학계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국제경제협력체다. 올해 한국이 20년 만에 APEC 의장국을 맡은 것을 계기로 서울에서 총회가 열렸다.이날 총회는 네 개 세션으로 나뉘어 아시아·태평양 지역이 직면한 도전과제를 논의했다.    '글로벌 통상 환경' 세션에서는 다자간 무역 협정의 실효성이 저하되는 가운데 APEC이 갖는 중요성이 논의됐고, '인공지능(AI)과 첨단기술' 세션에선 회원 경제체 간 불평등에 대한 우려와 함께 APEC AI 이니셔티브 추진 필요성이 제기됐다. '인구구조 변화 대응' 세션에선 미래번영기금과 같은 공동 대응 프레임워크의 필요성이 다뤄졌고, 마지막 세션에선 APEC 모델이 갖는 한계와 개선 방안을 점검하고 역내 미래인재 교류 확대 전략을 논의했다.이번 총회의 결과물은 '여의도 선언문'으로 정리해 오는 10월 APEC 정상회의에 제출될 예정이다. 선언문에는 AI 활용 방향성 정립과 회원 경제체 역량 강화, 포용적 성장을 위한 새로운 무역 패러다임의 모색, 인구구조 변화 대응을 위한 공동 전략 등이 포함될 전망이다.한편 이번 총회에서는 코로나19로 중단됐던 청년 프로그램이 '한국태평양경제협력위원회 유스 앰배서더'(KOPEC Youth Ambassadors)라는 이름으로 5년 만에 재개하기도 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