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 대다수는 한중 FTA 협상시 이익을 극대화하는 공격형 전략보다는 피해를 최소화하는 수비형 전략을 취해야 한다고 답했다. 협상기간에 대해서도 단기간 내에 체결하기 보다는 시일을 두고 신중히 추진해야 한다는 기업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손경식)가 최근 국내기업 500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한중 FTA 추진방향에 대한 기업의견'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중 FTA 협상전략을 묻는 질문에 대해 응답기업의 84.8%가 '심각한 피해가 예상되는 부문은 개방대상에서 제외하거나 관세철폐 폭을 최소화하는 등 피해 최소화에 우선순위를 두어야 한다'고 답했다. '양국 시장의 개방범위와 관세철폐 폭을 최대화하는 등 FTA 이익을 극대화해야 한다'고 답한 기업은 15.2%에 불과했다. 협상기간을 묻는 질문에도 '최선의 협상결과를 내기 위해 시간을 두고 신중히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이 94.7%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중국시장 선점 등 FTA 체결효과 극대화를 위해 가급적 단기간내로 체결해야 한다'고 밝힌 기업은 5.3%에 그쳤다. 한중FTA가 기업경영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혜택이 예상된다'(33.3%)는 응답이 '피해가 예상된다'(17.0%)는 답변을 웃돌았다. 다만, '혜택과 피해가 비슷할 것'(49.8%)이라는 응답이 과반수로 향후 협상 내용에 따라 FTA 체결에 따른 이해득실이 갈릴 것으로 예상됐다. 업종별로는 자동차, IT, 석유화학, 기계, 식품은 '혜택이 피해보다 클 것'으로 예상하는 기업이 많았고 철강, 생활용품은 '피해가 혜택보다 클 것'이라는 기업이 다소 많았다. 섬유·의류는 혜택을 예상하는 기업과 피해를 예상하는 기업 비중이 같았다. 한중FTA 추진 자체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보는 기업들이 많았다. 한중FTA 추진에 대해 '찬성한다'고 답한 기업이 71.3%인 반면, '반대한다'고 답한 기업은 28.7%였다. 한중 FTA는 지난 5월 협상개시 이후 4차례 협상을 통해 품목별 민감도에 따라 관세철폐기간을 차등화하기로 합의했고 초민감·민감·일반품목 선정을 두고 협상이 진행중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