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톡' 신드롬에 이어 '팡' 열풍을 주도한 카카오(공동대표 이제범·이석우)가 '카카오톡' 인맥을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콘텐츠 플랫폼 3종을 선보이고 모바일 생태계에 새로운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데 앞장선다.
카카오는 20일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통해 ‘카카오톡’의 인맥을 활용할 수 있는 콘텐츠 플랫폼 △카카오페이지 △채팅플러스 △스토리 플러스를 공개했다.
'카카오페이지'는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를 직접 만들어 마케팅 할 수 있는 모바일 콘텐츠 플랫폼이다. 카카오가 제공하는 전용 웹에디터를 이용해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콘텐츠를 만들어 판매가 가능하다. 특히 콘텐츠의 가격을 제작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고 카카오톡 친구를 이용해 빠르게 보급할 수 있다. 카카오는 ‘카카오페이지’를 통해 콘텐츠가 곧바로 수익이 될 수 있는 모바일 생태계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다는 방침이다.
'채팅플러스'는 카카오톡 채팅방에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앱)을 직접 연결해주는 서비스다. 사용자들은 친구와 채팅방에서 대화를 나누는 동시에 '채팅플러스'에서 제공하는 지도, 게임, 음악 등 다양한 콘텐츠를 동시에 공유할 수 있다. 앱 개발사는 '채팅플러스'를 새로운 사용자와 만나는 접점으로 활용 가능하다.
'스토리플러스'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카카오스토리'의 기업형 버전이다. 중소상인·기업은 '스토리플러스'를 친구수 제한없이 활용할 수 있다. ‘스토리플러스’를 이용하면 신규 고객유치는 물론 마케팅, 홍보 등 다양한 활동도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카카오는 각 부문별 사업성과도 일부 공개했다. 2010년 12월 출시한 모바일 커머스 플랫폼 '선물하기'는 2012년 10월 기준으로 상품 개수가 93배 성장했고, 21개로 시작한 '플러스 친구'의 업체는 260여개로 12배 이상 늘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