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침몰 사고 희생자가 늘면서 애도의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지방선거에 바빴던 정치권도 선거 관련 모든 업무를 전면 중단하면서 사실상 6.4 지방선거 일정에 비상이 걸렸다. 지방선거를 40여일 앞둔 시점에서 선거업무 중단 방침을 전달 받은지역 정치권은 경선과 여론조사 등 공천 단계의 선거업무를 전면 중단한 상태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전 국민이 슬픔에 빠진 상황에서 새누리당 후보를 뽑기 위해 진행되는 전화 여론조사가 자칫 국민 감정을 자극해 자칫 '민심의 역풍'을 맞을 수 있다는 주장이 앞다퉈 나오고 있다. 새누리당이 후보자 이름이 들어간 추모 문자메시지 발송, SNS 등에 여객선 사고 관련 부적절한 글 게시, 후보자 홍보 및 경선 참여를 권유하는 전화 및 문자메시지 발송도 금지토록 하면서 사정은 더욱더 묘하게 흘러가고 있다. 여론조사 기관에 의하면 실제 새누리당 대구시당 여론조사 경선의 경우 대구시의원 500샘플, 대구 기초단체장 1천샘플을 해야하는데 통상 전화 면접조사의 응답률을 15% 안팎으로 본다면 새누리당 대구시의원 후보 한명을 뽑기 위해선 3천통의 전화를 걸어야 500샘플을 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대구 기초단체장의 경우 6천통 정도이며 대구·경북 전체로 따지면 수십만통에 이른다는 분석이다. 경북도당의 한 관계자는 "지금 정치문제를 언급한다는 것 자체가 잘못된 것이지만, 경선일정을 준비하는 당직자 입장에서는 막막하다"며 "현재로선 정해진 것이 아무것도 없다. 경선이 언제 다시 재개될지 모르겠지만, 당원투표든 여론조사든 둘 다 쉽지만은 않을 것"이라고 걱정했다. 또 새누리당 경북도당에서는 무소속 야권 후보의 인지도 올릴 시간에 대해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한 관계자는 "국가적 상황에 동참 어쩔 수 없다"며 "여권에 비해 공천작업을 늦게 시작한 지역야권도 선거업무와 선거운동을 멈추고 애도 분위기에 동참하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낮은 인지도 올리기에 시간이 부족하지는 않을까 우려한다"고 걱정했다. 김 범 수 대구본부  취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