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취수원 구미 이전은 물 건너갈 공산이 크다. 김장호 구미시장이 "대구취수원 구미 이전은 구미시 현안이 아닌 대구시 문제"라고 못을 박았다. 구미 이전에 따른 상수원 규제 등 후속 조치는 구미 발전과도 어긋난다는 설명이다.  구미시가 대구취수원의 구미 이전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이유가 없다. 한마디로 구미에 큰 이득이 없기 때문이다. 김 시장은 지난 1일 구미시청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도 소신 발언을 했다. 김 시장은 대구취수원 구미 이전 협약을 꼼꼼히 살펴보면 대구시가 일시금으로 100억 원을 구미에 주는 것과 정부가 낙동강 수계관리기금에서 매년 100억 원을 지원하는 것 이외에 구미의 발전이나 이익에 도움이 되는 내용은 별로 없다고 꼬집었다. 그는 홍준표 대구시장의 안동댐 물을 먹겠다고 얘기했는데도 이후 한 달 동안 환경부, 대구시, 경북도에서는 대구취수원 이전 문제를 전혀 거론하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 시장은 6·1 지방선거 구미시장 예비후보 시절인 지난 5월에도 취수원 구미 이전 문제를 질타했다. 당시에도 구미시민 동의 절차 없는 대구취수원 구미 이전 협약의 엉터리 결정은 `정치적 쇼`에 불과하다고 지적해 눈길을 끌었다. 그는 대구시민이 깨끗한 물을 먹는 것에는 이의가 없으며 정부의 취수원 이전 보상 지원책이 두루뭉술해 구미 발전에 어떤 도움이 되는지 면밀하게 검토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선 지난 4월4일 국무조정실, 환경부, 대구시, 경북도, 구미시, 한국수자원공사는 세종 정부종합청사에서 구미 해평 취수장의 대구시 공동 이용이 핵심인 `맑은 물 나눔과 상생 발전에 관한 협정`을 맺었다.  문제는 심각한 녹조현상으로 낙동강을 살려야 할 시점에 대구취수원 구미 이전은 낙동강 포기정책이나 다름없다. 대구가 취수원을 구미로 이전하는 순간 대구는 낙동강 중류의 수질 관리에 손을 놓게 될 것이다. 이는 고스란히 낙동강 하류의 오염 부하를 가중시켜 부산 경남 또한 취수원 이전을 강행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해 결국에는 영남권 전체가 취수원으로서 낙동강을 포기하게 될 것이 불을 보듯 뻔하다. 이처럼 대구취수원 구미 이전은 영남의 취수원 낙동강 포기 전략의 단초를 제공하게 되는 셈이 될 것이다. 대구시는 취수원 구미 이전에 앞서 함께 잘 살 수 있는 길을 찾아야 한다.  대구취수원 구미 이전 문제는 대구시 해묵은 현안이다. 대구시는 2009년 낙동강 상류인 구미시 도개면으로 대구취수원 이전 방침을 발표하자 구미에서는 낙동강 수량 부족을 이유로 반대했다. 이후 맑은 물 공급 정책을 앞세운 대구시는 구미시 해평면 낙동강 물을 식수로 사용하기 위해 13년간 구미시를 압박해 왔다. 사태가 일판 만파로 커지면서 행안부가 수습에 나셨다. 행안부는 시의회 동의 없는 대구취수원 구미 이전 합의는 지방자치법을 위반했다는 유권해석을 내려 대구취수원 이전 무효화를 주장했다.  대구취수장 구미 이전 논란은 전임시장들이 졸속으로 추진하면서 발단이 됐다. 지금까지 추진 과정을 살펴보면 의회의결을 거치지 않는 등 너무 급했다. 대구취수원 구미 이전은 획기적인 낙동강 수질개선책으로 구미시가 납득 할 수 있어야 한다. 대구시는 김장호 구미시장의 의견을 새겨들어야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