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5일 경북 상주를 찾아 농업인들의 직접 애로사항을 직접 챙겼다. 윤 대통령은 청년 농업인을 위한 적극적인 지원도 약속했다. 그는 "청년 농업인들은 우리 농업의 혁신 동력"이라며 관심을 표명했다.  윤 대통령은 청년들의 농업 창업을 돕기 위해 정부가 체계적인 교류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으며, 과학영농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또 "창업자금 상환 기간 연장과 대출금리 인하를 통해서 금융 부담을 완화하고 생활 안정자금 지원도 확대해 나갈 생각"이라며 "환경을 자동제어하는 지능형 첨단 온실과 함께 자동 관계 시스템 자율주행 농기계를 활용한 노지 스마트팜도 늘려갈 것"이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스마트팜 혁신밸리 내 임대형 스마트팜을 찾아 청년 농업인이 재배하는 딸기와 방울토마토 온실을 둘러본 윤 대통령은 직접 기기를 조작하기도 했고 직접 방울토마토를 시식하기도 했다.  앞서 정부는 구체적으로 매년 5000여 명의 젊은 인재를 대상으로 창업 준비단계부터 성장단계까지 전주기 맞춤형 지원 체계 구축에 나셨다. 특히 시설원예·축사의 30%를 디지털 전환하기 위해 농업인·기업·전문가 등 민간 역량 강화, 스마트팜 확산, 데이터·인공지능(AI) 플랫폼 등 기반 구축을 계획하고 있다. 정부의 구상대로 진행될 경우 첨단기술에 친숙한 청년 농이 유입되고 청년층 등을 중심으로 스마트농업 관련 핵심 기술을 우리 농업에 적용하면 우리 농업이 미래성장산업으로 힘차게 도약할 수 있을 것이란 분석이다.  문제는 젊은 일손이 수도권으로 몰리고 있어 청년이 떠나는 농촌을 어떻게 지키느냐에 달렸다. 이 상태로 가면 농촌 공동화 현상이 심화 되어 정부의 청년 정책이 공염불이 그칠 공산이 크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은 지난 20년간의 균형발전 정책에도 불구하고 갈수록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 2021년 기준 전체 국토의 12%인 수도권이 인구 50.3%, 취업자 수 50.5%, 1000대 기업 수 86.9%, 신용카드 개인 사용액의 75.6%를 차지하고 있다. 이런 수도권 집중은 세종시와 전국의 혁신도시 건설로 다소나마 늦출 수 있었다는 데는 이견이 없다. 국토균형발전 방안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겠지만 혼선을 불러일으켜서는 안 된다.  현재 상황에서 가장 실현 가능성이 높은 것은 수도권 공공기관의 2차 지방 이전이다. 대기업과 수도권 대학의 이전은 그 이후의 일이어야 한다. 젊은 일손을 농촌에 묶어놓으려면 정부의 지역균형발전 정책이 획기적 이여야 한다. 청년 농업인 정책도 지역균형발전에 포함 시켜야 한다. 공공기관이 지방 이전으로 좋은 일자리 직장이 생기고 자녀들이 원하는 대학에 갈 수 있게 될 때 청년 농업인들은 신바람이 날 수밖에 없다. 청년실업자는 늘어나는데 기업들은 인력을 구하지 못해 야단법석인 것은 양질이 일자리가 없기 때문이다. 청년들도 나라의 미래를 책임져야 할 막중한 의무가 있다. 요구할 것은 요구하고 열악한 농촌 환경을 극복하고 적응해야 한다. 청년 농업인이 윤 대통령에게 거는 기대는 획기적인 청년 농업인 정책이다. 정부는 청년 농업인들의 목소리를 새겨들어야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