똘똘 뭉친 야당이 당대표 방어가 볼만하다. 야당은 김웅 민주연구원 부원장에 검찰에 구속 되자 '야당 탄압'으로 규정하고 나셨다. 그러나 여당의 주장은 검찰의 압수수색을 가로막고 국정감사 거부는 이재명 당 대표를 방어하기 위한 것이라고 반박하고 나셨다.  김 부원장 구속과 대표 관련 의혹들은 민주당과는 아무 연관 없는 개인 비위 사안들이지만 대표 방어 시비로 사태가 악화되고 있다. 이 대표는 1원도 대선자금으로 사용한 일이 없다고 결백을 주장하고 있어 검찰의 수사결과에 귀추가 주목된다. 문제는 이 대표를 둘러싼 의혹들이 사건이 불거진 시점도 문재인 정부 때이다. 그때부터 수사가 진행돼 왔다. '정치 보복'이란 막무가내 식 반발에 앞서 실체여부 부터 온전히 규명되도록 검찰 수사를 지켜보는 게 민주당에 180석을 안겨준 민의에 대한 도리다.  검찰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최측근인 김용 민주연구원 부원장을 구속하자 야당은 벌집 쑤신 듯 부글부글 한다, 위례·대장동 개발 의혹과 관련해 남욱 변호사 등 민간 사업자로부터 8억원을 받은 혐의(정치자금법 위반)다. 김 부원장이 돈을 받았다는 시점은 지난해 4~8월로 민주당 대선후보 경선 직전이었다. 지난해 8월 지역 언론 보도로 '대장동 게이트'가 불거진 이래 소문만 무성했던 '대선자금 의혹'이 수사선상에 떠오른 건 처음이다. 5·9 대선 집권당 후보이자 현 제1 야당 대표를 둘러싸고 대선자금 의혹이 가시화된 것 자체가 시시비비를 따지기에 앞서 충격적이다.  대장동 개발 당시 인허권자인 성남시장을 지낸 이재명 대표는 '단군 이래 최대 공익 환수'라며 불법 수익과의 관련성을 부인해 왔지만 사업을 주도한 김만배·남욱·유동규씨 등은 천문학적 이익인 수천억 원을 챙겼다. 이 과정에서 지난해 김 부원장이 유동규씨에게 수익금 중 일부를 달라고 요구하자 남 변호사가 8억원을 만들어 김 부원장에게 준 것으로 검찰은 보고 있다. 김 부원장은 이 대표가 "내 분신 같은 사람"이라고 공언한 인사다. 이런 최측근이 거액을 수뢰한 혐의가 제기됐다면 바로 사실 여부를 확인해 주는 것이 순리이다.  이 대표는 기자들 질문에 한마디도 답하지 않고 귀가했다가 다음 날 "불법자금은 1원도 쓴 적이 없다"고 주장했다. 그렇게 딱 부러지게 부인할 만큼 결백하다면 당당히 수사에 협조해야 한다. 검찰 수사로 드러난 김 부원장의 수뢰 정황은 상당히 구체적이다. 자금 수수 흐름이 유원홀딩스 사무실 등 돈을 주고받은 장소 등과 함께 자세히 제시됐다. 법원이 김 부원장 체포 영장과 압수수색 영장을 잇따라 발부해 준 것도 수뢰 혐의에 힘을 실어주는 대목이다. 야당 대표와 관련된 의혹 수사엔 정치적 논란이 야기될 공산이 큰 게 사실이다. 검찰이 논란을 불식하려면 수사 확대와 엄정한 수사이다.  논란을 잠재우려면 실체를 규명하는 것 외엔 답이 없다. 김 부원장이 돈을 받은 게 사실인지, 사실이라면 그 돈이 이 대표의 대선자금으로 쓰였는지, 그 과정에서 이 대표의 직·간접 지시가 있었는지 등을 오직 증거와 법리로 규명해야 할 것이다. 주군을 탄핵시킨 전력이 있는 여당은 야당대표 구출작전을 보고 무엇을 느꼈을까.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