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나는 글자를 몰랐다농삿일은 박사라고 자부하고 살아 왔지만학교에서는 연필 잡는 법부터 배운다처음에는 흰 것은 종이고 검은 것은 글자였다1만평 농삿일이 공부만큼 어려우면어찌 농사를 지을 수 있을까 싶다연필보다 낫과 삽이 익숙한 억센 손으로한자 한자 배우면서 알아가는 재미가가을에 알곡을 거두는 느낌이다논에는 볍씨를 뿌리고학교에서는 `ㄱ,ㄴ,ㄷ,ㄹ,ㅏ,ㅑ,ㅓ,ㅕ`자음 모음 글 씨앗을 뿌렸다피어나는 글자들을 난생처음 배우면서세상을 다 얻은 것 같다선생님께서 느타리버섯이라는 글자를 칠판에 쓰셨다나도 모르게 이마를 탁 쳤다30년 느타리버섯 농사에 버섯 이름을 쓸 줄도 몰랐다봄이면 과일나무에 열매 맞듯이올 봄엔 내 인생의 황무지에 글 농사를 지으니몸과 마음은 힘겨워도내 생에 최고의 푸른 봄날이다. -오영태,`지금이 내 생에 최고의 푸른 봄날이다`     이 시는 경주 아랫시장에 있는 `경주 행복학교` 문해 교육과정 학생인 오영태(66세) 할아버지의 시다. 전국 문해백일장 `글봄상` 수상작품 이다.  "내 인생 황무지에 글 농사를 지으니/몸과 마음은 힘겨워도/지금이 내 생에 최고의 푸른 봄날이다" 이 한귀절로 시가 된 감동적인 작품이다.  난생처음으로 한글을 배우면서 그 기쁨과 희망을 진정성 있고 솔직하게 노래했다.  시는 내 삶의 성찰문이고 내 삶의 자서전이라고도 할 수 있다. 시는 먼데 있는 것이 아니고, 우리 일상 가까이 있고 누구나 다 시를 쓸 수 있다.  시는 살아가면서 어떤 `낯선 상황과의 만남`에서 온다. 그리고 인생을 생각하는 사람에게서 온다.  나는 누구이고, 어떻게 하면 아름다운 인생을 살까? 깨닫는 사람에게서 온다.  흔히 인간을 `생각하는 동물`로 정의는 하고 있지만, 평소에 생각을 하면서 사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대부분 관성에 따라 기계적인 삶, 어제와 같은 삶을 반복하고 있다.  부처가 내 마음속에 있듯, 나의 체험, 나의 생각, 나의 상상속에 시를 찾아야 한다.  경주 행복학교 `졸업기념`으로 나온 2022년 `패랭이의 꿈` 문집에는 문해반 경주 할머니와 할아버지들의 풋풋하고 소박한 아름다운 시가 담뿍 실려 있다.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인생 제 2막을, 희망차게 노래하게 하고 꿈을 키워가게 하는 `강석근 행복학교` 교장 선생님과 여러 지도 선생님들의 노고에 깊은 존경과 뜨거운 박수를 보낸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