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봄 고향인 소백산에서 400㎞나 떨어진 부산 해운대구 달맞이고개에 나타났던 여우가 숨진 채 발견됐다.환경부는 재작년 3월 소백산 국립공원연구원 중부보전센터에서 태어나 같은 해 12월 소백산에 방사됐던 수컷 여우 'SKM-2121'이 이달 7일 강원 정선군에서 사체로 발견됐다고 24일 밝혔다.여우에게 붙여진 이름 SKM은 시설에서 출생(S)한 한국(K)의 수컷(M) 여우를 의미한다. 뒤의 숫자 2121은 2021년에 태어난 21번째 개체라는 뜻이다.SKM-2121은 방사된 뒤 강원 영월군과 충북 충주시 등에서 활동하다가 작년 5월 부산 달맞이고개에 나타났다.SKM-2121의 위치는 위치발신기 배터리 소진으로 작년 12월 중순부터 확인이 어려워졌다. 이에 국립공원공단이 이동 경로를 추적했고 이달 7일 달맞이고개에서 직선거리로 323㎞ 떨어진 정선군에서 숨져있는 것을 발견했다.소백산에 방사된 뒤 약 460일간 자연에서 살아가다가 사망한 것이다.부검 결과 사인은 폐부종 등 호흡기 계통 문제로 자연사한 것으로 판단된다.SKM-2121 사체가 발견된 곳은 소백산국립공원에서 25㎞ 떨어진 곳으로 고향으로 돌아오려다 숨졌을 가능성이 있다.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인 여우는 서식지에서 벗어나 먼 거리를 이동해가며 산지·농촌·도심 등 다양한 곳에서 서식하는 특성이 있다.여우는 원래 한반도 전역에 분포했으나 1960년대 쥐잡기 운동 등으로 먹이가 줄자 개체수가 급감해 멸종위기에 몰리게 됐다.환경부는 2012년부터 여우 복원사업을 벌여왔고 현재 야생에 70여마리가 사는 것으로 추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