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29일 당 원로인 황우여 상임고문을 비상대책위원장으로 지명하고 위기 수습 국면에 들어갔다. 4·10총선 참패 이후 19일 만이고, 한동훈 전 비대위원장이 사퇴한 지 18일 만이다. 워낙 구인난을 겪은 터라 내달 2일 전국위원회에서 비대위원장으로 무난하게 의결되겠지만, 총선에서 드러난 정권심판론 민심을 반영해 추진력을 갖고 변화와 혁신의 밑그림을 그려나갈 적임자인지는 의구심이 든다. 여당 내부에서도 `감동 없는 인선`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향후 역할에 실질적 제한은 있다고 하더라도 당 지도부가 새 비대위원장을 `관리형` `실무형`이라고 지레 규정한 것도 당장 여당이 처한 비상한 상황을 고려하면 지나치게 안이한 현실 인식 아닌가.어쨌든 `황우여 비대위`는 쇄신책 마련보다 당 대표 선출을 위한 6월 전당대회 개최 준비에 몰두할 것으로 보인다. 2개월 한시 관리형이란 한계가 있지만, 과제는 만만치 않다. 전당대회를 앞두고 대표 선출 방식이 최대 뇌관으로 꼽힌다. `당원투표 100%`로 규정된 전대 룰에 국민여론조사를 상당 부분 반영하도록 바꿔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이해관계를 잘 중재·조정하는 것이 5선 국회의원 출신으로 박근혜 정부 시절 여당 대표와 부총리 겸 교육장관을 역임한 황 고문의 연륜에 그나마 기대하는 바다.국민의힘 차기 원내대표 선출은 쇄신 요구와는 더 거리가 멀어 보인다. 후보 등록 이틀 앞두고 공개적으로 출마 선언한 의원이 없다. 친윤 핵심인 이철규 의원의 출마가 거론되면서 다른 후보들이 불출마 의사를 밝히거나 눈치를 보는 탓이다. `이철규 대세론`에 경선조차 없는 `이철규 추대론`까지 공공연하게 나온다.윤 대통령의 국정운영 방식과 친윤계의 정치 행태는 국민에게서 준엄한 심판을 받았다. 이런 상황에서 이 의원이 당을 장악하겠다는 것은 대놓고 `도로 친윤당`으로 회귀하겠다는 뜻과 다름없다. 야당과의 관계도 협치나 협상보다는 대립과 갈등 구조가 더 심화하고 고착화할 공산이 크다. 윤 대통령에게도 바람직하지 않다. 수직적 당정 관계를 고수하겠다는 오해를 살 수 있고, 쇄신·협치 약속에 대한 의지를 의심받기 십상이다. 선당후사 차원에서라도 이 의원을 비롯한 친윤계는 당분간 전면에 나서기보다 성찰하고 자숙하면서 국민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할 시점이다. 연합.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