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글에서 주어/서술어, 글자 수와 관련된 네 가지 단문 쓰는 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부사/형용사, 접속사 등과 관련된 네 가지 방법을 전해드릴게요. 다섯째, 부사/형용사 줄이기  "지옥으로 가는 길은 수많은 부사로 뒤덮여 있다" 미국 공포소설의 거장 스티븐 킹이 한 말입니다. 표현을 정확히 하기 힘들거나 강한 의미 부여를 하고 싶을 때 부사/형용사로 덧칠하곤 합니다.  벽에 페인트칠하느라 얼굴이 얼룩덜룩해진다면? 먼저 깨끗이 씻어야 합니다. 부사/형용사 남용은 짙은 화장으로 얼룩덜룩한 얼굴을 슬쩍 가리는 것과 같아요.- 그 사건은 멀리서 보면 희극이지만 애석하게도 가까이서 보면 비극이다.- 실수를 용서받고 싶어서 비굴한 모습으로 싹싹 빌었다.첫 번째 예시는 사건의 양면성을 말하는 문장이에요. `비극`이란 표현에는 애석하다는 뉘앙스가 깔려 있으므로 `애석하게`를 쓰지 않아도 됩니다. 두 번째 예시에서 `싹싹` 비는 것은 그 자체로 `비굴한 모습`이지요. `비굴한 모습으로` 나아가 `싹싹`까지 지워도 괜찮습니다. 여섯째, 접속사 되도록 안 쓰기 접속사는 기본적으로 문장을 잇는 수단입니다. 문장 간 연관 관계를 부여하는 기능을 해요. 문장 사이에 논리적 관계를 분명히 하고 싶을 때 접속사를 넣고 싶은 유혹이 생깁니다. 독자는 눈에 보이는 표현만이 아니라 보이지 않는 맥락도 읽어냅니다. 그 맥락이 계속 읽기를 방해할 만큼 복잡하지 않다면 접속사는 생략해도 좋아요. - 1) 영희는 캐나다로 어학연수를 갔다. 2) 그리고 영수도 함께 갔다.-1) 영어는 세계 공용어에 가까운 역할을 하고 있다. 2) 그러나 영어를 너무 많이 쓰면 우리말의 자연스러운 전달을 방해할 수 있다.가장 많이 쓰이는 접속사는 `그리고`, `그래서`, `그러나`, `왜냐하면`이에요. 두 번째 예시에서 1)은 영어의 역할을, 2) 영어 남용의 문제점을 전하고 있어요. 접속사 `그러나`가 생략되어도 1) 2)는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읽힙니다.일곱째, 번역 투 표현은 자연스럽게 번역 투는 외국어를 우리말로 바꿀 때 생겨나는 어색한 표현입니다. 우리 일상생활과 밀접한 영어나 일본어를 직역할 때 생겨나요. 특히 영어식 문법/표현을 직역한 것처럼 느껴질 때 우리말의 자연스러운 어법에 맞지 않게 되지요. - 우리의 사회는 다양한 사회적 문제들에 직면해 있다.- 여론조사는 사회 구성원의 여론 동향을 알아내기 위한 조사의 기법이다.조사 `의`, 접미사 `적`, 접사 `들`이 남용되는 문제가 심각합니다. `적(的)`은 우리말의 `적(敵, enemy)`으로도 불리지요. `우리의`는 영어 `our`, `사회적`은 `social`, `문제들`은 `problems`를 번역한 느낌을 줍니다. `의`, `적`, `들`이 사라진 `우리`, `사회`, `문제`가 자연스럽고 깔끔합니다.여덟째, 중복 표현은 깔끔하게 정리 같거나 비슷한 의미의 표현을 정리만 해도 잘 읽히는 문장이 됩니다. 군더더기를 정리하면 핵심만 눈에 들어오는 깔끔한 문장을 만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과반수`는 절반 이상을 뜻하므로 `이상`을 덧붙일 필요가 없습니다. - "편의점 앞에서 왼쪽으로 좌회전을 해주세요."- "본 안건은 과반수 이상 동의로 가결되었음을 선포합니다."- 대미 수출액이 2023년 8월에 갑자기 급증했다.- 왼쪽으로 좌회전을 → 좌회전을- 과반수 이상 → 과반수- 갑자기 급증했다 → 급증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