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당권 주자들이 22일 전당대회를 하루 앞둔 가운데, 각자 자신들에게 유리한 분위기임을 자신하며 막판 지지 호소에 돌입했다.특히 지난 19∼20일 모바일 당원투표율이 예상보다 저조한 45.98%를 기록한 것과 관련해서는 '경선이 자신에게 유리한 구도로 흐른 결과'라는 해석을 내놓는 등, 한동훈 후보는 '대세론'을 앞세워 1차 투표의 과반 승리를 굳히려는 반면, 나경원·원희룡·윤상현 후보는 반전을 노리는 모양새다.   한 후보 측 정광재 대변인은 이날 CBS 라디오에서 지난해 3·8 전당대회보다 낮은 투표율을 기록한 것을 두고 "워낙 처음부터 '어대한'(어차피 대표는 한동훈)이라 '언더독'(열세 후보)을 지지하는 분들이 적극적으로 투표에 응하지 않았다"고 분석했다.정 대변인은 나 후보를 향한 한 후보의 '패스트트랙 사건 공소 취소 폭로'가 "득표율에 도움이 됐을 거라고 보는 분은 많지 않다"면서도 "1차 과반을 막을 정도의 악재가 됐느냐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의하기가 어렵다"고 1차 과반 승리를 예상했다.나 후보는 YTN 라디오에서 "전당대회 연설회와 토론회가 거듭되면서 한 후보에 대한 막연한 환상, 기대가 많이 깨진 것 같다"며 "'어대한'이 아니고, '그대나'(그래도 대표는 나경원)이라고 하더라"고 말했다.   나 후보 측 김민수 대변인도 CBS 라디오에서 "전당대회 기간 중 안 좋은 모습들에 한 후보의 중·약성 지지자들이 물음표를 찍어 투표를 포기하거나 보류한 분들이 있을 것"이라며 "2차 간다"고 강조했다.윤 후보는 YTN 라디오에서 결선투표 여부에 대해 "예단해서 말씀드리기 어려운 것 같다"면서도 "한 후보가 1차 50%를 넘지 못하면 결국 후보 간 연대가 이뤄지지 않겠나"라고 내다봤다.이들은 한 후보의 '패스트트랙 사건 공소 취소 부탁' 폭로에 대한 공방도 이어갔다.나 후보는 한 후보의 폭로를 두고 "우리 당원들 마음을 아프게 한 사건"이라고 지적했고, 윤 후보는 "자해성 폭로가 돼서 어떤 팀 킬로 이어질지도 모른다"고 우려했다.   한 후보 측 정 대변인은 "공소 취소에 대한 여야 합의가 이뤄졌다면 (당시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쉽게 결론을 내릴 수도 있었지만, 그렇지 못한 사안이었기 때문에 장관이 공소 취소를 하기 어려웠다"고 반박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