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덕 천지 원전이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부존자원이 없는 우리는 대안이 원전밖에 없음에도 활발하게 추진된 천지 원전이 문재인 정부 시절 탈원전 정책으로 백지화됐다. 당시 영덕 천지 원전 건설은 주민들의 수용성이 높아 기대가 컸던 게 사실이다.
이번에 국회 상임위 문턱을 넘은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 본)은 과거 추진해오다가 백지화된 영덕, 삼척 등이 유력 후보지로 꼽히고 있다. 다만, 새로운 지역에서 유치 움직임이 일어날 수도 있어 앞으로 부지 선정 절차를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한수원은 "신규 원전 부지확보와 관련해 한수원이 우선 검토 대상으로 고려하고 있는 지역은 없다"고 밝혀 결과를 예측하기는 이른 것 같다. 신규 원전 건설은 종전처럼 안전성, 환경성, 수용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지자체 자율유치 등을 통해 부지를 선정할 움직임이다.
신규 원전이 어디에 갈지 아직 예단할 수는 없으나 영덕 천지 원전은 지난번 추진 때 수용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돼 유력 후보지로 거론되고 있다. 환경단체 등이 반대에도 일부 지자체가 신규 원전 유치에 나선 것은 원전 건설로 인한 경제 효과에 대한 기대가 크기 때문이다.
방사성폐기물 등으로 인한 건강과 환경 문제를 우려하는 시각도 있으나 월성과 울진을 비롯한 원전을 유치한 지역에서 획기적인 발전을 가져와 이를 지켜본 주민들이 긍정적인 측면도 있어 향후 신규 원전 유치에 새로운 변수가 되고 있다.
앞서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전체 회의에서 신규 원전 2기 도입 방안 등이 담긴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이 국회 상임위원회를 통과하면서 신규 원전 건설이 가능해졌다. 정부는 첨단산업 발전과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건설 등 급증하는 전력 수요에 맞춰 안정적 전원을 확보하기 위해 곧 신규 원전 부지 확정을 위한 절차에 착수한다는 계획이다.
전기본에는 2037∼2038년 각 1.4GW 설비용량의 신규 원전 2기를 도입하는 방안이 담겼다. 이 안이 최종 확정되면 신한울 3·4호기 건설 계획이 반영된 2015년 7차 전기본 이후 10년 만에 신규 원전 건설 계획이 마련된다.
전기본이 최종 확정되면 절차에 따라 한국수력원자력은 주민 수용성이 높은 지역부터 본격적인 부지 선정 작업에 들어간다. 원전 건설 추진이 취소된 영덕 천지 1·2호기가 우선 검토 대상에 오를 수밖에 없는 이유다. 일부 지자체와 주민들의 신규 원전유치 움직임은 원전 건설이 경제살리기에 기폭제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