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0대 대통령선거에서 무효표가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 간 격차보다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이날 오전 5시13분 개표율 99.49% 기준으로 윤 당선인은 1632만3166표(48.59%), 이 후보는 1605만6283표(47.79%)를 득표했다.   동시간대 기준 무효 투표수는 30만6152표로 이는 윤 당선인과 이 후보 간 득표수 차이인 26만6883표보다 3만9269표 더 많은 수치다.   지난 1997년 김대중 전 대통령이 당선된 15대 대선(40만195표) 이후 25년 만에 가장 많은 무효표였다.앞선 대선의 무효표를 살펴보면 ▲15대 40만195표 ▲16대 22만3047표 ▲17대 11만9984표 ▲18대 12만6838표 등이다. 국정농단 사태에 따른 탄핵 국면에서 치러진 지난 19대 대선(13만5733표)과 비교하면 이번 대선에서는 그 2배가 넘는 무효표가 나왔다.   두 후보간 표차보다 무효표가 많이 나오게 된 데는 국민의당 안철수, 새로운물결 김동연 대표의 후보직 사퇴가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두 후보 모두 투표용지가 인쇄된 시점 이후에 다른 후보를 지지하면서 후보직을 내려놨다.   안 후보의 경우 대선 과정에서 각종 여론조사상 5~10%의 지지율을 보인 바 있는데 그의 사퇴 사실을 미리 인지하지 못한 유권자들의 표로 무효표가 다수 발생했다는 얘기다.현장에서 투표용지가 인쇄되는 사전투표의 경우 투표용지상 두 사람의 이름 옆에는 '사퇴'라는 표시가 있었으나 미리 인쇄된 투표용지가 배부되는 본투표에는 이런 표시가 없었다.또 나아가 두 사람이 사퇴를 선언하기 전인 지난달 23∼28일 치러진 재외국민 투표에서도 무더기 무효표가 나왔을 것으로 추정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