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첫 검찰총장 출신 대통령이 탄생하면서 앞으로 있을 검찰 인사에도 관심이 쏠린다. 우선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검찰에 재직할 당시 함께 정권 수사에 나섰다가 좌천된 이들 중 상당수가 복권 조치될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가 실린다.반면 윤 당선인의 징계를 주도하거나 정권 관련 수사에 미온적 태도를 보인 '반윤(反尹)' 검사들은 소위 '좌천 인사'의 대상으로 거론된다. 윤 당선인이 어떻게 인사판을 짜느냐에 따라 검찰 내 적잖은 지각변동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10일 법조계에 따르면 윤 당선인은 이르면 오는 8~9월께 검찰 고위간부 및 중간간부 인사를 단행할 것으로 보인다.윤 당선인은 오는 5월10일 대통령 임기를 시작하면 곧바로 신임 법무부 장관과 검찰총장부터 지명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회 인사청문 절차에 각각 한 달여의 시간이 소요되는 점을 고려하면, 본격적인 검찰 인사는 장관과 총장의 임명이 마무리되는 8월께 시작될 것이라는 전망이 유력하다.아직 5개월여라는 시간이 남았지만 인사 기조는 윤 당선인의 입장에서 '신상필벌'(信賞必罰)이 될 것이라는 게 검찰 안팎의 관측이다.가장 큰 조명을 받는 것은 한동훈(49·사법연수원 27기) 사법연수원 부원장이다. 한 검사장은 국정농단 특검, 서울중앙지검에서 윤 당선인과 함께 근무하며 문재인 정부 초기 핵심 국정과제였던 '적폐청산' 수사에 기여했다.한 검사장은 윤 당선인이 검찰총장에 임명됐을 때 전국 특수수사를 총 지휘하는 대검찰청 반부패·강력부장으로 승진하며 승승장구했으나, 문재인 정부에서 임명된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일가 수사에 관여한 뒤 줄곧 비수사 부서를 전전하는 처지가 됐다.이런 한 검사장을 두고 윤 당선인은 최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거의 (정권 수사를) 독립운동처럼 해온 사람이다. 그가 서울중앙지검장이 안 된다는 얘기는 독립운동가가 중요 직책을 가면 일본이 싫어하기 때문에 안 된다는 논리랑 똑같은 것"이라고 말하며, 사실상 자신이 당선됐을 경우 한 검사장에 대한 구체적인 인사 계획을 전하기도 했다.물론 한 검사장이 곧바로 서울중앙지검장에 임명될지는 단언하기 힘들다. 정권이 바뀌긴 했지만 다수 의석을 차지하고 있는 더불어민주당의 반발에 부딪힐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대신 한 검사장이 수사에 탁월한 능력을 보여온 점을 고려해 수원지검장에 앉힌 뒤 성남FC 후원금 의혹 사건 등을 맡길 수 있다는 관측도 조심스레 나온다. 수원지검 관할에는 검찰과 줄곧 신경전을 벌인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관계자들이 고발된 사건도 많다.윤 당선인과 함께 각각 '대윤'과 '소윤'으로 불린 윤대진(58·25기) 법무연수원 기획부장의 인사도 관심이다. 윤 검사장은 문재인 정부 초기 법무부 검찰국장에 발탁됐지만, 지난 2020년부터 사법연수원 등 비수사 보직에 머물렀다. 다만, 그의 형인 윤우진 전 용산세무서장이 뇌물수수 등 혐의로 재판을 받는 피고인 신분이라는 점에서 변수가 따른다.출고일자 2022. 01. 12특검과 서울중앙지검, 대검 등에서 근무 인연이 있는 검사들의 복권 여부도 관전 포인트다. 서울중앙지검 형사3부장으로 윤 당선인을 보좌한 신응석(50·28기) 서울고검 검사, 청와대 선거개입 의혹 수사를 지휘한 신봉수(52·29기) 서울고검 검사, '조국 수사' 책임자였던 송경호(52·29기) 수원고검 검사 등이 있다.대검에서 윤 당선인을 각각 수사정보정책관과 대변인으로 보좌한 김유철(53·29기) 부산고검 검사와 권순정(48·29기) 부산지검 서부지청장, '상갓집 항명 사태'와 관련이 있는 양석조(49·29기) 대전고검 검사 등이 요직에 발탁될 가능성도 점쳐진다.윤 당선인과 마찰을 빚은 이들은 좌천 인사를 당할 확률이 높다는 분석이 나온다.대표적으로 이성윤(60·23기) 서울고검장이 꼽힌다. 이 고검장은 채널A 사건 등 문재인 정부를 향한 주요 수사를 두고 여러 차례 윤 당선인과 충돌했다. 심재철(53·27기) 서울남부지검장과 이종근(53·28기) 서울서부지검장은 윤 당선인의 징계에 관여하기도 했다.마찬가지로 윤 당선인의 징계에 참여하고 최근 '성남FC 수사 무마 의혹'에 휩싸인 박은정(50·29기) 수원지검 성남지청장, '한명숙 사건' 등으로 윤 당선인과 대립한 임은정(48·30기) 법무부 감찰담당관 등도 거론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