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대선 패배 하루 만인 10일 지도부 총사퇴를 결의하고 윤호중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장을 맡는 '관리형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 체제로 전환한다. 
 
당장 6월 지방선거 준비에 돌입해야 하는 점, 대선에서 지기는 했지만 24만표차 '석패'였다는 점 등이 '책임'보다는 '단합'이 중시돼야 한다는 의견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용진 수석대변인은 이날 지도부 일괄사퇴를 결의한 최고위 회의 후 브리핑에서 "지금 외부의 새로운 인물을 비대위원장으로 선임하려고 한다면 오히려 혼란과 분열의 소지가 생길 수 있다는 의견이 개진됐다"며 "최고위는 이러한 의견을 수용해 윤호중 비대위 체제를 결정했다"고 설명했다.일각에서는 지방선거를 코앞에 둔 만큼 현 지도부의 거취를 선거 이후에 묻는 '질서 있는 수습론'도 제기되기도 했다.또 최고위 회의에선 당장 지도부의 책임을 도외시할 수 없다는 의견이 절대다수였던 것으로 전해졌다.
윤 원내대표는 새 지도부 선출이 예정된 '8월 전당대회' 전까지 비대위원장으로서 당의 전권을 행사하며 수습 작업을 주도할 것으로 보인다. 당무 차원에서는 6월 지방선거가 목전의 숙제다. 민주당은 대선 승리에 올인하면서 지방선거 관련 일정을 대선 이후로 다 미룬 바 있다.5월부터는 거대 야당을 대표하는 사람으로 '윤석열 정부'와의 관계 설정을 어떻게 할지도 고민해야 한다. 이를 포함한 진로 문제는 비대위가 구성되면 본격적으로 논의될 것으로 전망된다.비대위는 내주 초 중앙위원회 추인을 거쳐 공식 출범할 예정이다. 규모는 현 최고위 수준인 8∼9명이 될 것으로 보인다.윤 원내대표 측 관계자는 비대위원 구성과 관련해 "당내 계파색이 아무리 옅어졌다고 해도 안팎의 시각을 고려하지 않을 수가 없다"며 "최대한 계파 안배에 신경 써서 위원을 선임할 것으로 본다"고 했다.